李 '셰셰' 발언에 뜨거운 중국…"韓서 단 하나뿐인 현명한 사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李, 尹 외교 비판" 언론 대서특필
SNS선 "그는 빛" 댓글 쏟아져
전문가 "中에 韓 때릴 빌미 준 셈"
SNS선 "그는 빛" 댓글 쏟아져
전문가 "中에 韓 때릴 빌미 준 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발언이 중국 포털과 매체에서 긍정적으로 조명되고 있다. 지난 22일 충남 당진시장을 방문한 이 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대중 외교를 비판하며 “양안 문제에 왜 우리가 개입하냐, 왜 중국에 집적거리냐’며 “그냥 ‘셰셰(謝謝·고맙다)’, 대만에도 ‘셰셰’ 이러면 된다”고 한 말을 두고서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25일과 26일 이틀에 걸쳐 이 후보의 발언 내용에 힘을 싣는 보도를 내놨다. “한국 최대 야당 대표가 정부의 대중국 외교를 강도 높게 비난하며 ‘왜 중국을 도발하는지, 대만 문제와 한국이 무슨 상관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또 “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미국 등 서방에 편향된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며 “윤 대통령의 중국을 향한 부적절한 발언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외교 악재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이 대표가 경고한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도 화제가 됐다. 26일 이 대표의 ‘셰셰’ 발언이 담긴 게시물은 인기 검색어 2위에 올랐다. 여기에는 ‘한국에서 단 하나뿐인 현명한 사람’ 등 우호적인 댓글 2만여 개가 달렸다. 지난해 9월 이 대표가 단식 투쟁을 벌였을 땐 관련 영상이 담긴 소셜미디어에 ‘이재명은 빛(明)’ 같은 댓글이 여러 개 달리기도 했다. 한·미·일 결속을 강화하는 윤 대통령의 대척점에 있는 이 대표를 중국 언론과 소셜미디어가 집중 조명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지난해 6월엔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외교부 국장급인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를 만나 우리 정부에 대한 불만을 잠자코 듣기만 해 ‘굴욕 회동’ 논란을 낳기도 했다.
외교 전문가들은 이 대표의 ‘셰셰’ 발언이 적절치 않다고 입을 모은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국가 정치 지도자가 부적절한 표현으로 중국 언론에 한국 정부를 비난하기 위한 일종의 ‘빌미’를 준 셈”이라며 “한·중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이 잘못됐고, 중국 언론은 ‘찬스’를 잡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양안관계가 우리나라와 관련 없다는 인식도 전체적인 국제 정세를 고려하면 매우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25일과 26일 이틀에 걸쳐 이 후보의 발언 내용에 힘을 싣는 보도를 내놨다. “한국 최대 야당 대표가 정부의 대중국 외교를 강도 높게 비난하며 ‘왜 중국을 도발하는지, 대만 문제와 한국이 무슨 상관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또 “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미국 등 서방에 편향된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며 “윤 대통령의 중국을 향한 부적절한 발언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외교 악재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이 대표가 경고한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도 화제가 됐다. 26일 이 대표의 ‘셰셰’ 발언이 담긴 게시물은 인기 검색어 2위에 올랐다. 여기에는 ‘한국에서 단 하나뿐인 현명한 사람’ 등 우호적인 댓글 2만여 개가 달렸다. 지난해 9월 이 대표가 단식 투쟁을 벌였을 땐 관련 영상이 담긴 소셜미디어에 ‘이재명은 빛(明)’ 같은 댓글이 여러 개 달리기도 했다. 한·미·일 결속을 강화하는 윤 대통령의 대척점에 있는 이 대표를 중국 언론과 소셜미디어가 집중 조명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지난해 6월엔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외교부 국장급인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를 만나 우리 정부에 대한 불만을 잠자코 듣기만 해 ‘굴욕 회동’ 논란을 낳기도 했다.
외교 전문가들은 이 대표의 ‘셰셰’ 발언이 적절치 않다고 입을 모은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국가 정치 지도자가 부적절한 표현으로 중국 언론에 한국 정부를 비난하기 위한 일종의 ‘빌미’를 준 셈”이라며 “한·중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이 잘못됐고, 중국 언론은 ‘찬스’를 잡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양안관계가 우리나라와 관련 없다는 인식도 전체적인 국제 정세를 고려하면 매우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