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기업 없는 스카이라인 공약이 걱정되는 이유
“뉴욕 맨해튼의 스카이라인 같은 것이 생긴다고 생각해 보라.”

지난달 31일 경기 수원을 찾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천천동을 둘로 갈라놓은 철도 위 보도육교에서 ‘철도 지하화’ 공약을 발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민간이 상부 공간을 주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개발하고, 여기서 나오는 개발 차익으로 지하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은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렸다. 다음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한술 더 떠 전국의 철도를 ‘예외 없이’ 지하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대표는 “이제 경비 문제도 해결되고 정책적으로도 가능한 상황이 됐다”고 주장했다.

과연 그럴까. 그동안 선거 과정에서 논의된 수많은 개발 과제 중 상당수는 ‘유령 도시’ ‘유령 건물’만 낳았다는 평가가 많다. 사업성 평가나 재원 조달안 마련 없이 청사진만 내세우기 바빴기 때문이다. 2007년 ‘한국의 두바이’로 기대를 모았던 새만금이 대표적이다.

한 위원장이 언급한 ‘뉴욕의 스카이라인’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2019년 1단계 개발을 마친 허드슨야드는 미국 역사상 최대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많은 도시가 롤모델로 삼는 곳이다. 방치됐던 철도 위 부지에 고급 주거 건물, 호텔, 오피스 빌딩, 고급 쇼핑몰 등이 빽빽하게 들어섰다. 철길을 복원해 만든 ‘하이라인 파크’까지 이어지는 이 일대 보행로는 ‘뉴욕에서 가장 걷기 좋은 길’로 꼽힌다. 전 세계 자본과 관광객이 몰려든 건 당연한 수순이었다.

도심의 성공 기저엔 기업들의 스토리가 있다. 미국 최대 사모펀드 중 하나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가장 먼저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의 최상위 10개 층을 사들여 본사를 옮겼다. 이 소식은 반신반의하던 투자자들에게 ‘보증 수표’ 역할을 했고, 블랙록·웰스파고 등도 잇따라 둥지를 옮겼다. 허드슨야드에 거주 중인 한 금융회사 임원은 “오피스 장기 임대 혜택, 고급 주거용 빌딩 매입 저리 대출 등 인센티브가 많았다”며 “미디어 등 다른 업종 기업이 줄줄이 입주하면서 ‘제2의 월스트리트’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여야의 공약엔 ‘기업’ 대신 ‘기대’만 있다. 용도 규제 등을 풀면 자연스럽게 기업이 몰려들어 개발해줄 것이라는 식이다. 한 경제 전문가는 “철도 지하화 사업은 지역당 수조원이 드는데, 민간 투자 유치로 다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세제 혜택 등 강력한 인센티브가 없다면 굳이 산업 기반이 없는 도시를 택할 기업은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지역 산업 구상이 없는 공약만으로 도시의 텅 빈 ‘스카이라인’이 채워지길 바라는 건 과한 기대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