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시장 평균(5%)보다 다소 높은 5.5%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부문의 대출 규제 완화, 기후변화 대응 속도 조절 등으로 민간부문 경제 활력이 살아날 것이란 전망이다. 수출도 호조를 유지할 것으로 관측했다. 다만 '코로나19 제로' 정책에 따른 국내 소비 부진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컨센서스(시장 평균)는 5% 안팎이다. 미국의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이보다 높은 5.5%를 제시했다. 민간경제가 활력을 되찾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실물부문(금융 제외)의 채무비율은 코로나19 대응 때문에 2020년말 270.1%까지 올라갔다. 중국은 부동산부문 대출 규제 등 강도높은 통제로 지난해 3분기말 기준 이 비율을 264.8%까지 끌어내렸다. 모건스탠리는 "부채 감축 정책의 강도가 너무 세서 소비가 위축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며 "올해는 정책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① 확장 정책

중국 당국은 지난해 10월께부터 부동산 관련 각종 규제들을 완화하기 시작했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지급준비율을 2차례, 기준금리를 1차례 인하해 유동성 공급을 늘렸다. 모건스탠리는 "중소기업과 부동산개발업체들에 대한 대출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② 부동산 경기 반등

중국 당국이 부동산개발업체들에 부과한 대출 규제 기준인 '3대 레드라인'은 헝다 등 대형 업체들의 잇따른 디폴트(채무불이행)로 이어졌다. 이는 주택 구매자들의 심리도 위축시켰고, 다시 부동산 시장을 침체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모건스탠리는 "일부 도시에서 부동산 구매 제한 조치를 해제하는 등 관련 정책이 계속 완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동산개발업체들의 자금 조달도 다소 쉬워질 것이란 관측이다.

③ 전력난 리스크 감소

지난해 중국 경기의 발목을 잡은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전력난이다. 중앙정부의 탄소배출 감축 목표에 맞추기 위해 지방정부들이 석탄 생산을 줄인 게 결정적 요인이었다.

모건스탠리는 "중국 정부가 석탄 문제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개입했다는 점을 주목할 만 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전기료가 자율화되면서 발전기업들이 발전기 가동에 여유가 생긴 점도 전력난 재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④ 수출 호조 지속

모건스탠리는 중국의 '코로나19 제로(0)' 방역 정책이 수출 부문에선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공장 가동을 전면 중단하는 사례가 2020년보다 크게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중국의 수출이 상당 기간 호조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모건스탠리는 다만 글로벌 공급망과 병목 현상이 해소되면 중국의 수출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