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중소 제조사 A사의 사장은 회사 지분 70%를 사모펀드(PEF)에 600억원에 매각했다. 해외 유학파인 외동딸에게 경영권보다는 현금을 쥐여주는 게 낫겠다는 판단에서다. 자동자 부품업체인 B사도 올해 초 팔렸다. 서울에 거주하는 아들이 경영권을 물려받기 위해 지방 공장으로 출퇴근하다가 더 이상 못 하겠다며 두 손을 들었기 때문이다.
기업 M&A시장 달구는 '창업자 은퇴'
중소·중견기업의 인수합병(M&A)이 올 들어 역대 최대 규모에 달하고 있다.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가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면서 마땅한 후계자를 찾지 못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데다 제조업 경영 환경이 악화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M&A 시장 호황으로 제값을 쳐줄 때 파는 게 낫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한국경제신문 마켓인사이트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기업 계열사와 구조조정 매물 등을 제외한 개인 대주주 기업의 매각 사례는 36건으로 집계됐다.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반기 기준 최고치다. 올 하반기 들어서도 가구 1위 한샘, 세탁서비스 1위 크린토피아 등 굵직한 회사가 잇따라 매물로 등장했다. 시중에 나온 개인 대주주 기업 매물이 20여 건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연간 최고치였던 2019년의 51건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중견기업의 ‘큰 장’이 서자 대형 회계법인과 PEF 등은 1980~1990년대 창업한 중소·중견기업을 공략하는 별도 팀을 꾸려 대응하고 있다. 한 PEF 대표는 “최근 M&A 매물의 절반 이상은 이런 기업들”이라며 “풍부한 실탄을 갖춘 PEF, 승계를 마치고 도약을 노리는 또 다른 중견기업 등이 사들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한 회계법인 M&A 자문 본부장은 “주 52시간 근로제, 중대재해처벌법 등 경영 관련 규제 강도가 세지고 코로나19로 경영환경이 악화되자 중소기업의 경영 기피 현상이 더 심화됐다”며 “영세 중소기업은 후계구도가 흔들리자 아예 자산을 팔고 휴·폐업 절차를 밟는 사례도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자산거래 중고장터에 나온 중고 기계·설비 매물은 올해 상반기 735건으로 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 기록(601건)을 훌쩍 넘어섰다.

민지혜/차준호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