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응급의료기관 409곳 중에서 24시간 소아 응급 진료가 가능한 곳은 9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급차 관련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구급차 관련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의 71.4%에 달하는 292곳은 야간이나 휴일에 소아 응급환자를 받지 않거나 신생아나 생후 24개월 미만의 소아 응급환자는 진료하지 않는 등 시간이나 연령 등에 제한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25곳은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아예 불가능 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 응급진료가 제한되는 원인으로 소아 청소년과 전공의 감소 등으로 인한 야간·휴일 진료 의사 부족. 소아 중환자실 등 병상·병실 부족 등이 꼽혔다.

또한 소아 환자가 119 구급대를 통해 병원에 이송되더라도 전문의 부재 등의 이유로 다른 병원이로 다시 이송되는 경우도 지난해 300건 가까이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무소속 이성만 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시도별 병원의 거부로 18세 미만의 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재이송된 경우는 총 288건이다.

한 번 재이송된 경우는 282건이고 2번은 5건 3번은 1건이다. 4번 재이송된 경우도 있었지만, 소방청은 구급대원이 재이송 사유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통계에 잡히지 않아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재이송 원인으로는 전문의 부재가 117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병상 부족 57건, 주취자(응급처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26건 음압격리실 부족으로 수용하지 못한 경우는 81건으로'기타'로 표시됐다.

이성만 의원은 "소아 전문의 부재가 결국 소아 응급체계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 파격적인 재정지원을 해서라도 소아 환자들이 제때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 응급 의료시스템을 보완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