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新자원전쟁]
④글로벌 자동차 기업 리튬 확보 총력전
제78차 유엔총회가 진행 중인 미국 뉴욕에서 19일(현지시간) 미국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C(Central Asia)5+1' 정상회의가 열렸다. / 연합뉴스
제78차 유엔총회가 진행 중인 미국 뉴욕에서 19일(현지시간) 미국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C(Central Asia)5+1' 정상회의가 열렸다. / 연합뉴스
미국이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첫 다자간 정상회의를 열고 광물자원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이 큰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포섭해 중국의 '희귀 광물 무기화'에 따른 리스크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유엔 총회가 열리는 뉴욕에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 정상과 'C(Central Asia)5+1' 정상회의를 처음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6개국 정상은 안보, 무역 및 투자, 모든 국가의 주권 및 영토 보전 존중, 거버넌스 및 법치 개선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백악관은 소개했다. 미국은 중앙아시아의 광물 자원을 개발하고, 중요 광물 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C5+1 중요 광물 대화’ 출범을 제안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미래 에너지 환경 전략을 뒷받침할 탄력적이고 안정적인 중요 광물 공급망 구축을 위해서다. 중국의 실크로드 길목에 자리잡은 중앙아시아 국가에는 상당한 광물자원이 매장돼 있다.

이번 C5+1 정상회의 개최는 중국의 희귀 광물 무기화에 맞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광물에 자급자족을 확대하고 수입원을 다변화하려는 미국의 전략과 맞닿아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 약화로 발생한 공백을 틈타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견제하려는 목적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5월 과거 실크로드의 출발점이었던 산시성 시안에서 중앙아 5개국과 첫 대면 정상회의를 갖고 에너지 안보와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 협력 등의 방안을 제안했다.

중국은 지난 8월부터 차세대 반도체에 쓰이는 희귀 광물인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도 통제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전 세계 갈륨과 게르마늄은 생산량 대부분을 좌지우지한다. 중국이 자국과 외교·안보·경제 등에서 갈등을 빚는 국가에는 해당 광물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이 2010년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 분쟁 이후 점점 더 노골적으로 '희귀자원 무기화'에 나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안보, 대테러, 법 집행 문제 등에 대한 협력을 약속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구소련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안보 불안감을 덜어주겠다는 제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에서 "미국과 중앙아시아 국가간 협력은 주권, 독립, 영토 보전에 대한 공동의 약속에 기반하고, 이러한 원칙들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협력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 올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이번 정상회의에 이어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주최로 다음달 중앙아시아에서 C5+1 장관급 회의도 열기로 했다.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