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된 라이브 영상을 옮긴 글입니다.

▶전형진 기자
지방소멸을 맞닥뜨린 중소 도시들이 청년인구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급기야 집을 사실상 공짜로 제공하겠다는 지자체들도 늘고 있습니다.
청년의 특권…"34평 아파트 월세 1만원" [집코노미 타임즈]
전남 화순군은 월세 1만원짜리 임대아파트 52가구에 대한 입주자 추가모집에 나섰습니다. 지난 5월 선보였을 때 10 대 1의 경쟁률을 넘겼을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었죠. 화순군이 민간아파트를 임대한 뒤 이를 재임대하는 주거복지 사업입니다.

소득기준을 맞춘 18~49세의 화순군 거주자라면 이 주택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보증금 4800만원은 군이 대신 냅니다. 입주자는 예치금 88만원과 1년치 월세 12만원까지 총 100만원을 내면 전용면적 50㎡짜리 아파트를 빌릴 수 있죠. 계약기간은 2년이지만 2회 갱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6년 동안 거주할 수 있습니다.

화순군의 임대아파트 사업이 좋은 반응을 얻자 주변 지자체들도 유사한 복지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신안군 또한 1만원짜리 아파트 공급을 시작했습니다. 자녀가 있는 가족이나 신혼부부에게 보증금 300만원, 월 1만원에 연립주택을 빌려줍니다. 입주민의 나이에 비례해 임대료가 올라가는 구조라는 점이 화순군과는 살짝 다르지만 집은 조금 더 넓은 편입니다. 방 세 칸에 화장실 두 개가 딸린 전용 85㎡ 주택이니까 3~4인 가구가 거주하기에도 넉넉하죠.

나주시는 취업청년임대주택을 선보였습니다. 18~45세의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전용 66㎡의 임대아파트를 공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보증금 전액은 시에서 지원하고 입주자는 관리비만 내면 되는 개념이죠.
청년의 특권…"34평 아파트 월세 1만원" [집코노미 타임즈]
지자체에서 이 같은 고육지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까닭은 심각한 인구감소에 직면했기 때문인데요.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기준으로 한국은 2년 연속 인구 순감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특히 사례로 든 전남은 전국에서 빈집이 가장 많고 인구 이탈도 큰 곳이죠. 오른쪽의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고령인구 비율도 다른 광역지자체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와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 비율 모두 전국에서 가장 높습니다. 청년인구 유치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것이죠. 경북과 전북도 남 얘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집만 마련해준다고 청년들이 이사를 가진 않습니다. 지방소멸 문제는 결국 일자리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기 때문이죠.
청년의 특권…"34평 아파트 월세 1만원" [집코노미 타임즈]
전국에서 일자리가 가장 많은 서울에선 조금 다른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공공주택의 인기는 높지만 사업성이 떨어지다 보니 지을 사람이 없어지고 있는 것이죠. 서울시의 주거복지사업인 청년안심주택 얘기인데요. 역세권청년주택이란 옛 이름으로 기억하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청년안심주택은 19~39세 청년이나 신혼부부에게 주변 임대료보다 저렴하게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지금도 빈집이 거의 없을 정도로 인기가 높습니다. 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역세권 등 요지에 자리를 잡은 데다 시세보다 저렴하다 보니 그럴 수밖에 없죠.
청년의 특권…"34평 아파트 월세 1만원" [집코노미 타임즈]
서울시는 민간에서 이 같은 주택을 많이 지을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용적률 상향 등의 당근을 제시합니다. 그런데 정작 사업자들 입장에선 그닥 구미가 당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선 정책 취지상 임대료가 제한되다 보니 임대수익이 사실상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만큼 운영 및 관리비도 나가니까요. 그래서 10년 간의 의무임대가 끝난 뒤 분양전환하거나 매각해 차익을 보는 게 그동안의 수익구조였습니다.

하지만 금리와 공사비가 치솟으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당장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일으키는 것도 어려운데 10년 뒤의 상황을 예상하고 계산기를 두드릴 수 없기 때문이죠. 인·허가와 착공실적이 감소한다는 그래프가 이 같은 상황을 요약해서 보여줍니다. 일부에선 사업을 아예 취소하는 곳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두 건의 기사에서 보듯이 주거복지사업은 수요자와 공급자 양쪽의 이득을 정교하게 고민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최근 한경에선 해외의 주거복지사업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짚어보고 있는데요. 주거정책에 관심이 많은 분들께는 일독을 권합니다.

기획·진행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
촬영 이문규 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