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박승필(25·연세대 영문과 4년)씨는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고 있다.
졸업을 앞두고 논문 준비 등으로 바쁜 데다 시간이 나면 서울 답십리에 있는 부친의 양복점인 ‘엘부림(elburim)’을 찾아 일을 돕고 있다.김씨는 제대하고 복한한 2년 전부터 부친의 뒤를 이어 양복점을 운영하기로 결정한 상태다.
“어릴 때부터 영어 선생님을 꿈꿔 왔습니다.하지만 대학에 들어온 뒤 아버지가 운영하는 양복점이 고전하고,주변의 양복점 자체가 백화점 등에 밀려 도태되는 것을 보면서 ‘양복점’을 살려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게 됐습니다.”
지금도 아이들에게 영어를 무료로 가르쳐 주고 있는 박씨는 ‘교육자’도 좋지만 부친이 40년 동안 지켜온 양복점을 키우는 것이 더 보람있은 일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부친을 도와 조금씩 양복점을 변모시키고 있다.지난해에는 뒷골목에서 도로변으로 매장을 옮겼고,상호도 ‘부림양복점’에서‘엘부림’으로 바꿨다.20,30대를 전문직 종사자 등을 겨냥해 고급 백화점에서 한벌에 수백만원씩 하는 명품 양복을 절반 이하 가격으로 제공하는 ‘맞춤 양복점’을 강조했다.
그는 “각종 기능대회 대상을 수상한 부친의 손맛을 살리고,마케팅을 제대로 하면 승산이 있다”며 “본점을 ”키운 뒤 프랜차이즈 사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불황으로 자영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우리사회에는 박씨 같은 젊음이들이 적지 않다.
서울 광장동의 유명한 묵전문집인 ‘도토리마을’의 아들 형제인 서보건(33),서보균(31)씨도 비슷한 사례다.
치대를 졸업한 형은 의사의 길을 포기하고 대학을 졸업한 2007년 모친이 운영하던 광장동 도토리마을을 이어받아 묵을 팔고 있다.국제무역학을 전공한 동생도 연봉 6000만원인 증권사에 다니다다 작년 가을 회사를 그만두고 경기도 구리시에 ‘도토리마을’ 분점을 냈다.
서씨는 “20년 이상 어머니 가게를 찾아오는 단골들을 보면서 좋은 음식을 만드는 게 보람있는 일이라고 느꼈다”며 “사실 샐러리맨 보다 ‘수입’도 훨씬 많다”고 말했다.
사실 이웃나라 일본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는 대를 이어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본의 경우 도쿄대,게이오대 등 명문대를 졸업한 뒤 부친이 하던 4,5평짜리 우동집이나 라멘집을 물려받는 게 드문 일이 아니다.
이에 비해 관료나 직장인 등 화이트칼러를 선호해온 한국사회에선 ‘장사’하는 것을 그리 후하게 평가하지 않아왔다.하지만 최근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는 데다 실용 마인드로 무장한 젊은이들이 늘면서 자영업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고 있다.
자영업이나 중소기업에 젊은이들이 많이 진출한다는 것은 건강한 사회 발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도 일본경제가 안정돼 있고,자동차 로봇 등 주요 제조업에서 굳건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대를 이어 한 가지에 몰두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세계 소비시장 침체로 위기에 몰렸던 도요타,혼다 등 일본 자동차업체들이 차세대 주력차인 하이브리드차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기초가 튼튼하기 때문이다.
100년이상 장수하는 기업이 일본에 5만개나 있는 반면 우리나라엔 두산과 동화약품 두 개에 불과한 게 양국의 경제력 격차를 반영한다.
선진국은 흔들림이 적은 사회다.한 해에 자영업자들이 30여만명이 줄어 든다면 보통 일이 아니다. 정부는 대책을 서둘러야 하고,자영업자들도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성공한 자영업자로 꼽히는 남상만 음식업중앙회장은 “경영 환경이 아무리 어려워도 긍정적인 사고와 끈기를 가지면 어떠한 난관도 극복할 수 있다”며 젊은이들이 용기를 가져줄 것을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