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이호철이 이 아파트와 인연을 맺기 전, 아파트에서 살았던 유명인이 있다. 한국 화가 중 가장 비싸게 팔린 그림을 그린 사람, 김환기이다. 1971년 작 '우주'가 2019년 홍콩 크리스티 경매에서 132억 원에 낙찰됐다. 그 전의 기록은 85억에 거래된 '붉은 점화'다. 그 작품도 김환기가 그렸다. 김환기의 기록을 김환기가 깼다. 값비싼 작품 순위 10개 중 9개가 그의 작품이라고 한다. 그가 이 아파트에 살았던 기록은 일본 유학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40년 5월 22일 도교의 우에노 공원에서 열린 ‘제 4회 자유미술가전’에 참여한 김환기는 전시 도록에 주소를 ’경성부 죽첨정 도요타 아파트‘로 올렸다. 왜 주소를 도요타 아파트로 올렸을까? 그의 고향은 알려진대로 신안군 안좌도라는 섬이다. 190cm에 육박하는 자신의 키에 대해 섬사람이어서 육지를 보기 위해 목을 길게 빼 그리 되었다는 싱거운 소리를 했던 그였다. 그가 소설가 ’이상‘의 부인이었던 변동림에게 준 자신의 다른 이름 ’향안(鄕岸)‘은 멀리 육지의 언덕을 그리워한 마음이 실려 있다. 이곳에 살았다는 흔적은 1940년 4월에 발간된 문학잡지 '문장'에도 보인다. 김환기는 삽화를 자주 그렸지만 청록파가 대거 등단했던 이 잡지에 수필도 많이 썼다.

섬 생활이 울적해 서울로 올라왔다고 하며 "종일 여관방에 드러누워 지내면서 영화 한편 만들거나 자비로 시집 200부 정도를 낸다거나…그림 100점 정도를 장곡천정(지금의 소공로)에서 개인전을 열거나…(중략) 나중에 여관비를 치르고 나갈 일이 은근히 걱정"이라는 말로 끝을 맺는다. 이 글에 등장하는 ’여관‘은 이 아파트를 두고 한 말이다. 당시에는 ‘여관’과 ‘아파트’를 구별해 사용하지 않았다. 그가 이 아파트의 방 한 칸에서 생활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관리실에 전화가 가설된 서울에서 몇 안되는 최고급 아파트였다. 이 아파트에 기거하며 전화로 알고 지낸 사람들과 교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박철수 외, '경성의 아파트' 도서출판 집, 2021년)
김환기와 김향안, 사별과 이혼후 만난 두사람.
김환기와 김향안, 사별과 이혼후 만난 두사람.
김환기가 소설가 이상의 부인이었던 김향안과 결혼한 것이 1944년이다. 이상은 김향안과 3개월의 신접 살림 후 홀연히 동경으로 떠났다. '불령선인'으로 일본 경찰에게 체포된 후 요절한 이상, 그를 잃고 외로웠던 김향안이다. 김환기는 부모의 강요로 이른 나이에 결혼했지만 일본 유학으로 로맨티스트가 된 후 부모가 맺어준 아내와 이혼했다. 사별과 이혼으로 혼자가 된 두 사람이다. 이들의 결합은 한국 문예사에 중대한 사건으로 기록된다.

문장지에 글을 실었던 1940년에는 혼자 이 아파트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허름하게 보이는 건물이지만 1960년대 ‘서울은 만원이다’를 쓴 문제 작가 이호철도, ‘최고(액)의 화가’ 김환기도 모두 고인이 된 지금, 그들의 흔적을 찾다보니 이 아파트가 다시 보인다.
이 아파트의 측면에서 보면 4층을 증축한 흔적이 보이고 도로 확장공사로 인해 한 쪽면이 칼로 썰 듯이 없어진 부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아파트의 측면에서 보면 4층을 증축한 흔적이 보이고 도로 확장공사로 인해 한 쪽면이 칼로 썰 듯이 없어진 부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아파트의 변천사는 우리나라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서울 환도 후 미군부대로 사용되던 충정아파트는 '트레머’라는 미군 전용 호텔로 변신한다. 푹신한 침대와 샤워실, 서양식 화장실과 전화, 라디오가 있고 냉장고에 맥주와 사이다가 그득한 최고급 호텔이었다고 한다. 여관, 아파트, 인민군 재판소, 미군부대, 미군 전용 호텔로 쓰였던 아파트는 전쟁을 겪으며 다시 새로운 운명을 맞는다.

이승만 대통령이 김병조라는 사람에게 이 아파트를 준다. 김병조는 전쟁 중 자신의 아들 6형제를 나라에 바쳤다고 해서 화제가 된 사람이다. 반공주의자 이승만 대통령이 그를 도울 일을 찾다가 이 아파트의 불하권을 준 것이다. 아파트를 헐값에 받아 관광 호텔로 개조했다. 서울 시내에 호텔이 거의 없던 시절이었다. ’코리아 관광호텔‘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했지만, 아들을 나라에 바쳤다는 것이 거짓으로 밝혀지고 건물은 몰수됐다. 반공이면 모든 것이 다 되는 시절의 우화였다.

새 주인이 호텔을 맡았지만 영업이 저조해 1975년 서울은행에 인계될 지경에 이른다. 건물주는 은행에 인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건축물의 용도를 호텔에서 아파트로 변경 후 호별로 분양한다. 1979년에는 역경을 맞게 된다. 일대가 정비되면서 충정로가 왕복 8차선도로로 확장됐다. 1979년이면 우리나라 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갈 때였다.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전이다. 카터 미국 대통령 방한에 앞서 정부는 마포와 서대문 일대를 정비했다. 마포의 ’귀빈로‘ 연결 과정에서 충정로를 정비할 즈음이다. 이 과정에서 도로 쪽의 아파트 건물 3분의 1이 잘려나갔다. 도로 쪽에 살던 19세대가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그들은 막무가내로 집 앞 복도를 개조해 살림을 꾸렸다. 주민 일부는 4층이던 건물을 임의로 증축해 옥상에 터전을 잡았다.

이후 2008년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돼 재건축의 길이 열렸으나 보상문제가 복잡하게 얽혀버린다. 복도와 5층에서 살던 세대는 불법으로 증, 개축한 세대니 4층 이하 세대에서는 그들의 지분을 인정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아파트를 등록문화재로 지정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2019년에는 지역 유산 보호 명목으로 보존이 검토되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최근 건물의 안전 문제로 철거가 결정됐다. 이제 이곳에 28층 높이의 최고급 아파트가 들어선다고 한다. 차를 몰고 마포를 넘어 충정로를 지날 때 낡았지만 밝은 모습으로 나를 반겨주던 아파트였다.
곧 헐리는 충정아파트
곧 헐리는 충정아파트
우리나라의 근대화, 현대사에서 생사고락을 같이 했던 아파트가 사라진다니 아쉽다. 1931년생, 충정아파트는 사람으로 치면 94세 할아버지다. 그러고 보니 10년 전 돌아가신 필자의 아버지와 동갑내기이다. ’아버지 아파트‘라 부를 만하다. 안 가본 사람들은 가서 눈도장을 찍을 일이다. 가서 한마디만 해주시라. ’지금까지 남아줘서 감사했다고…" 그리고 아파트가 흘린 눈물의 흔적을 찾아보시라. 곳곳에서 역경의 투성이를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경닷컴 The Lifeist> 한이수 엔에프컨소시엄에이엠 대표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