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회용컵 반납 번거로워'…10개 중 3개 안돌아왔다
4일 오전 11시, 서울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인근 스타벅스에서 마주친 A씨는 들고 온 다회용컵 13개 중 8개만 반납할 수 있었다. 깨끗하게 씻었는데도 기기는 2개를 ‘반납 불가능한 컵’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일부 지역에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도입하는 등 다회용컵 사용을 독려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지만, 다회용컵 사용 문화를 실생활에 안착시키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컵을 반납하러 다시 매장에 와야 하는 데 부담을 느낀 시민들이 아예 주문을 취소하거나, 반납기를 쓰레기통으로 오인하는 등 곳곳에서 크고 작은 소동이 일고 있다.

다회용컵 반납기 운영업체 해피해빗에 따르면 서울·세종·제주 지역 해피해빗 반납기 설치 매장의 평균 컵 회수율은 2021년 말 63%에서 2022년 말 61%로 줄었다가 올 2월 말엔 71%로 상승했다. 올해 들어 올라가긴 했지만, 여전히 다회용컵 10개 중 3개는 안 돌아온다는 얘기다.
'다회용컵 반납 번거로워'…10개 중 3개 안돌아왔다
도입 3년차를 맞은 서울지역 회수율은 81%로 높은 편이다. 제주(2021년 7월 시작)와 세종(지난해 11월 시작)에서는 여전히 60%대에 머문다.

전국에 설치된 다회용컵 반납기는 해피해빗 반납기다. SK텔레콤이 서울시, 재단법인 행복커넥트와 협업해 2021년 제작했다. 스타벅스와 같은 대형 카페 프랜차이즈 업체,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소상공인 카페 등 60여 개 단체가 해피해빗 반납기를 사용 중이다. 음료 테이크아웃을 원하는 고객은 보증금 1000원을 내고 다회용컵에 음료를 담아간 뒤 해피해빗 반납기가 설치된 매장에 재방문해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환급받을 수 있다.

회수율이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번거로움이다. 다회용컵의 크기와 모양이 동일하기 때문에 반납기를 찾기만 하면 보증금은 어렵지 않게 돌려받을 수 있다.

문제는 반납기가 있는 매장이 서울 전역에 85곳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마저도 중구 강남구 등 오피스 상권에 몰려 있어 매장에 버려지는 다회용컵이 적지 않다. 스타벅스 무교로점에 근무하는 조모씨(33)는 “어르신이 반납기 사용법을 몰라 ‘컵을 버려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관리도 쉽지 않다. 이날 찾은 파리바게뜨 서소문점 반납기는 투입구가 막혀 있었다. 직원 A씨는 “소비자들이 다회용컵 수거함을 쓰레기통으로 오인해 쓰레기를 자주 버린다”며 “반납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직원이 컵을 세척해 기기에 투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와중에 서울시는 일회용컵 1000만 개 줄이기를 목표로 올해 더 강력한 제로웨이스트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카페 운영자 입장에서는 다회용컵을 수거하고 세척하는 비용이 일회용컵을 사용하는 비용보다 더 많이 들기 때문이다. 카페에서 가장 많이 쓰는 414mL짜리 플라스틱 컵은 개당 39~55원인데 다회용컵 수거·세척 등의 비용은 개당 100원에서 최근 150원까지 올라갔다.

한경제/오유림/최해련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