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들은 연내 서울과 서울 접경지역 집값이 추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울 강남권 아파트 단지.  /한경DB
부동산 전문가들은 연내 서울과 서울 접경지역 집값이 추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울 강남권 아파트 단지. /한경DB
부동산 전문가들은 오는 4분기에도 서울과 준서울지역 집값이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45명 중 22명(48.9%)이 서울·수도권 인기 주거지역 아파트값이 1~3%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합세(33.3%), 3~5% 상승(13.3%)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하락세를 예상한 전문가는 없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공급 신호는 심리 안정에 다소 도움을 주겠지만 실제 공급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다 보니 당장 집값을 떨어뜨리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투자자는 추가 매입 금물”

전문가 대부분은 서울 실수요자라면 연내 집을 사는 것이 낫다고 전망했다. 57.8%는 소득 범위 내에서 주택 매수를 추천했고, 20.0%는 대출을 끼더라도 집을 연내 구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공공주택 또는 민간 전·월세 등에 거주하며 가격 조정을 기다리는 것이 낫다는 의견은 22.2%였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서울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소득 상위 20%의 연수입은 계속 늘고 있다”며 “소득 증가세, 새집 선호 현상 등을 감안할 때 향후에도 주택 가격이 크게 조정받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경기·인천 실수요자에 대해선 전문가의 55.6%가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집을 구매할 만하다고 응답했다. 가격 조정을 기다리라는 답변은 35.6%, 대출을 끼고라도 구매하라는 의견은 6.7%였다. 전문가의 48.9%는 경기·인천 중 서울과 접경지역이 아닌 곳은 연내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31.1%는 1~3% 상승을 점쳤다.

지방은 당분간 매수하지 말고 대기하라는 조언이 62.2%에 달했다. 연내 지방 아파트값을 놓고는 응답자의 60%가 1~3%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자문센터장은 “지방 부동산은 주택시장 내부 변수보다 지역 기반산업 침체 등 외부 변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며 “일단 신규 공급이 줄어들고 있지만 기존 물량 적체 해소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투자 목적의 주택 신규 매수는 당분간 자제하라는 의견이 62.2%로 우세했다. 김선관 삼일산업 사장은 “이미 주택 가격이 상당히 높아진 데다 정부가 연이어 수요 억제책을 내놓고 있어 뒤늦게 시장에 진입해 만족할 만한 투자 수익률을 내는 데엔 한계가 있다”며 “실수요자가 아니라면 당분간 시장을 관망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서울 실수요자, 주택 매입 고려할 만… 지방은 가격 조정 대비해야"
◆“신규분양 수요 몰릴 것

유망 투자처로는 신규분양 단지를 꼽은 이들이 55.6%로 가장 많았다. 김연화 기업은행 부동산팀장은 “기존 주택값은 너무 오른 데다 거래량이 많지 않아 상승 여력이 별로 없다”며 “위례신도시 등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2기 신도시와 공공택지 잔여 분양 물량은 시세보다 저렴하고 추가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가격 상승 기대가 있어 수요자가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1주택자 대상 추첨제 물량 축소로 이르면 오는 11월부터 무주택자의 청약 기회가 많아진다”며 “서울 분양 단지와 위례 등 서울 인접 신도시 분양시장이 뜨거울 것”이라고 말했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3.3%가 그간 호황을 누린 수도권 분양시장에서도 입지별 양극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요 억제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입지 여건이 떨어지는 지역들이 상승대열에서 이탈할 것이란 예상이다. 올 상반기의 호조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은 42.2%였다.

◆“후속 공급대책·금리 등이 변수”

‘9·13 주택시장 안정대책’과 ‘9·21 수도권 주택공급대책’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특히 9·21 공급대책에 담긴 내용은 당장 입주 물량이 아니어서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장은 “추가 공급 발표가 실수요자에게 심리적 위안은 될 수 있으나 물량과 입지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는 못한다”고 말했다.

9·21 공급대책에 대해선 86.7%가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서홍 한양 부사장은 “공공주택과 기존 분양·매매주택의 수요층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임대주택 위주인 공급 발표안이 지금의 매수세를 잠재울지 의문”이라며 “수요자들이 실제 주거지를 결정할 때엔 교육, 교통 등 인프라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인프라 이전·확충 등의 내용이 빠져 있어 대책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후속 공급계획 발표와 금리인상 등이 연내 시장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양지영 R&C연구소장은 “정부가 앞으로 발표할 3기 신도시 등의 입지와 하반기 금리에 따라 집값 방향과 폭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은 “상반기 시장 변곡점이 지난 4월 시행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였는데 연말까진 거래에 큰 영향을 끼칠 이슈가 딱히 없어 보인다”며 “금리가 상승하면 전체 시장에 다소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추가공급 지역·물량 발표가 하반기 변곡점이 될 수 있다”며 “투자자는 발표 때까지 당분간 관망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설문에 참여하신 분

강영훈 ‘부동산 스터디’ 카페 대표 강은현 EH경매연구소 대표 강진혁 한화건설 마케팅팀장 고승일 니소스 대표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자문센터장 곽창석 도시와공간 대표 구만수 국토도시계획기술사사무소 대표 구명완 엠디엠플러스 대표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 김도훈 밀리언키 이사 김민규 파인드아파트 대표 김선관 삼일산업 사장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 김신조 내외주건 사장 김연화 기업은행 부동산팀장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 김종율 보보스부동산연구소 대표 김태섭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혜현 알투코리아 부동산자문 이사 도재용 태원피앤에이 대표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부동산위원 서홍 한양 부사장 손상준 도우아이앤디 대표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안도용 GS건설 마케팅팀장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장 양용화 KEB하나은행 부동산자문센터장 양지영 양지영R&C연구소 소장 유수현 대우건설 마케팅팀장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 이월무 미드미디앤씨 대표 이은호 시티코어 전무 이주현 월천재테크 대표 이창동 밸류맵 리서치팀장 이창언 랜드비전 대표 임채우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장영호 씨엘케이 대표 조은상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 채상욱 하나금융투자연구위원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

선한결/이소은/전형진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