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할 1기 대통령실에 대선 캠프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출신 전문가가 대거 중용됐다. 한번 써보고 실력이 검증되면 계속 기용하는 윤 당선인의 인사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다만 이런 실력주의 인사로 인해 지역과 성별 안배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력 검증된 사람, 계속 중용"…대통령실 참모 11명 중 8명 尹캠프·인수위 출신
1일 발표로 진용이 확정된 대통령실 수석비서관급 인사 11명 중 8명은 윤석열 대선 캠프에서 일했거나 대선을 간접 지원했다. 또 11명 중 6명은 인수위에 들어가 윤석열 정부의 밑그림을 짜는 데 기여한 이들이다. 선거 캠프와 인연이 없는 인사는 홍보수석으로 내정된 최영범 효성그룹 커뮤니케이션 실장(부사장)이 유일하다. “민간기업 현장을 잘 아는 사람을 기용하면 좋겠다”는 윤 당선인 지시로 삼고초려했다는 전언이다.

해당 분야 전문가라는 사실도 공통점이다. 경제수석으로 내정된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차관이 대표적이다. 모피아(재무부의 영문 약자와 마피아의 합성어) 선후배들이 한목소리로 인정하는 엘리트 경제 관료다. 관직에 있을 땐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후보자 및 김대기 비서실장 내정자 등과 함께 일한 경험이 많다. “경제는 하나의 팀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윤 당선인의 국정 운영 철학이 반영됐다. 다만 관가에선 특정 부처(기재부) 출신 인사가 요직을 독식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상훈 사회수석비서관 내정자는 유일하게 행정 경험이 없는 교수 출신이다. 안 내정자는 박근혜 정부의 김기춘 전 비서실장 사위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복지와 연금 분야 전문가인데 문재인 정부에선 김 전 실장의 사위라는 이유로 제대로 능력을 인정받지 못했다는 평가가 많다”고 말했다.

현역 정치인은 철저하게 배제됐다. 1기 내각에 추 후보자를 비롯해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 등 세 명의 현역이 기용된 것과 대조를 이룬다. 기용된 일부 정치권 인사들은 현역이 아니다. 정무수석과 시민사회수석 등 정치인으로서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에 한정해 전직 의원들이 내정됐다.

새 정부에 고시 출신이 많다는 비판은 일부 반영됐다는 평가다. 대통령실 인사 11명 중 고시 출신은 행정고시 출신인 김대기 비서실장 내정자와 최상목 내정자 등 2명에 그쳤고, 사법고시 출신은 한 명도 없었다. 서울대 법대 출신은 최상목 내정자 한 명뿐이다. 내각 인선에선 장관 후보자 18명 중 9명(50%)이 고시 출신이고, 서울대 법대 출신은 5명에 달한다. 지역과 성별 안배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다. 11명 중 서울 출신이 6명으로 가장 많았고, PK(부산·경남)가 4명으로 집계됐다. 여성은 강인선 대변인 한 명뿐이다.

국가안보실 조직은 크게 바뀐다. 안보실 1차장에 이명박 정부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 출신인 김태효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내정했다. 과거 국방 전문가를 주로 임명하던 국가안보실 1차장에 외교안보 전문가를 기용했다. 김 내정자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도 겸임한다. 1차장 산하엔 경제안보비서관 직이 신설된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내정자는 “(경제와 안보 간) 구분선이 모호해지고 있는 경제안보 시대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가안보실은 ‘6비서관·1센터장’ 체제로 확대된다.

한편 윤 당선인은 대통령 직속으로 경제안보TF(태스크포스)·국방혁신4.0민관합동위원회·국가사이버안보위원회 등 3개 민관합동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좌동욱/김동현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