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불가피한 인력조정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전직지원제도(Outplacement service)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가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조찬간담회에서 김정한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직지원제도의 의의와 향후 과제'라는 발표자료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지난 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이 치밀한 사전계획 없이 수량적인력감축 위주의 구조조정을 단행해 노조와 해고 근로자들의 반발, 생존자의 사기저하, 기업이미지 및 성과저하, 파업 등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됐다고 밝혔다. 이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경영상의 이유로 퇴직하거나 퇴직할 예정인 근로자들이 재취직이나 창업을 가장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업이 돕는 전직지원제도가 광범위하게 시행되어야 한다고 김위원은 지적했다. 그는 전직지원제도는 비자발적인 퇴직자가 기업의 자의적 조치에 따른 희생자라는 점을 감안해 경영자의 인간존중,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하고인재의 재활성화 정책과 기업의 항시적인 인사정책으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위원은 전직지원제도는 지난 99년 9월 한국피엔지에서 처음 시행된 이래 한국애질런트, 한국노바티스 등 외자계기업에서 잇따라 도입했다고 소개했다. 이후 전직 프로그램의 유용성이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대우자동차, 제일제당, 포스틸, 한국철도차량, LG전자, 삼성코닝,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쌍용제지, 삼성SDI, 삼성건설, 교보생명, 삼성생명 등 국내기업에서도 실시중이라고 김위원은 밝혔다. 한편 김위원은 요즘과 같은 인재 유동화시대에는 근로자의 경우 경력개발, 대기업.학력.직위의식 불식, 네트워킹 강화 등이 필요하고 노동조합은 'all or nothing'전략재고, 전직 프로그램에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기업은 인간존중 경영철학 견지, 다양한 해고회피 노력, 퇴직관리의 중요성 인식 등이 요구되고 정부는 전직지원 장려금제도에 대한 전향적 사고, 전직지원금의 부정수급 예방,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배려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현태기자 sht@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