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유럽의 근대는 종교개혁을 매개로 유럽 중세로부터 ‘신’을 계승했지만, 일본 근대는 전근대로부터 ‘신’을 계승하지 않았습니다. 일본이 유럽적 근대국가를 만들려면 유럽적 근대국가가 계승한 전제를 다른 것에서 구해와야만 합니다. 그것이 바로 신격화된 천황이었습니다. 천황제는 유럽의 기독교에 대한 ‘기능적 등가물’로 간주되었습니다.”

일본 원로 정치학자이자 역사학자인 미타니 타이치로 도쿄대 명예교수는 최근 《일본 근대는 무엇인가》에서 근현대 천황제의 탄생에 대해 이같이 설명한다. 이를 통해 일본이 독일과 영국 등 유럽 주요국으로부터 ‘일본식으로 변형한 제도’를 도입했다고 덧붙인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일본의 근대 역사를 조망하는 개론서다. 하지만 내용은 상당히 깊고 묵직하다. 입헌군주제와 정당정치, 헌법 등 근대 민주주의 국가가 갖춰야 할 제도를 근대라는 틀을 만들기 위한 기능적 도구로만 활용했을 뿐이라고 지적한다.

[책마을] 일본 근대가 '혼란과 붕괴의 길' 걷게 된 이유
저자는 정당정치, 자본주의, 식민지, 천황제라는 주제로 제국 일본이 근대의 붕괴로 돌진했던 이유를 곱씹는다. 그는 일본의 정치학자 로야마 마사미치가 1930년대 발표한 ‘입헌적 독재’ 이론을 인용한다. 만주사변과 5·15 사건(1933년 이누카이 쓰요시 당시 일본 총리가 대낮에 육·해군 장교들에게 암살당함) 이후 일본 정당정치의 권위는 크게 흔들렸다. 이로 인해 일본에선 입헌주의란 개념 자체가 변질됐다. 저자는 “앞으로 일본의 권력 형태가 ‘입헌적 독재’, 실질적으로는 ‘전문가 지배’라는 경향이 강화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우려한다.

일본의 식민지제국 시기에 대해선 “일본 근대에서 최대의 부정적 유산이며 오늘날에도 청산되지 않았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일찍이 식민지였던 타국의 정치, 경제, 문화뿐만 아니라, 일본 자신에도 아직 치유되지 않은 상흔을 남겼다”며 한국과 중국에 대한 역사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오늘날 한국에서 ‘식민지 근대’의 현실로 이야기되는 것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일본도 한국도, 각각의 근대사를 일국사로서 쓸 수는 없다”며 “한·일 양국 근대의 불가분성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양국이 역사를 공유하는 첫걸음”이라고 말한다.

2011년 3월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과 원전 사고가 일본의 우경화를 부를 수 있다고도 지적한다. 저자는 “일본에서는 ‘안전 보장 환경’의 변화를 강조하고, 나아가 군사력 강화(‘강병’)의 필요성마저 부르짖고 있다”며 “전후 부국노선이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자, ‘강병’의 주장을 다시 소환하는 듯하다”고 꼬집는다.

저자는 미래의 일본은 더 이상 외부에서 들여온 제도를 ‘일본화’하는 대신 국제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적극 활동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는 “지금까지 일본 근대화를 떠받치던 사회적 기반을, 이제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국제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공동체에 두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또 “국제공동체를 잘 조직, 운영함으로써 글로벌한 규모로 근대화 노선을 재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인다.

아시아 역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역설한다. 저자는 “과거 일본은 아시아의 우등생을 지향하며 내달렸다”며 “이젠 아시아에 대한 대외평화 확대와 국가를 넘어선 사회를 위한 교육이 필요해졌다”고 말한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