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한 ‘2021 대내외 경기·금융시장 대예측 세미나’에서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왼쪽)과 주현 산업연구원장이 내년 경기 및 금융 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영우 기자
21일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한 ‘2021 대내외 경기·금융시장 대예측 세미나’에서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왼쪽)과 주현 산업연구원장이 내년 경기 및 금융 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영우 기자
내년 2분기부터는 기업 이익을 짓눌렀던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차 완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원자재 가격이 올해보다 안정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도 안정화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횟수도 시장이 예상하듯 3회가 아니라 2회에 그칠 것이란 관측이다.

내년 세계 각국의 경제 성장률은 올해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이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통화 정책이 긴축적으로 돌아서는 반면 재정정책을 추가적으로 집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경제 성장세는 제한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내년 글로벌 성장률 둔화”

"내년 2분기부터 인플레 둔화…美 금리인상 두 차례 그칠 것"
21일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한 ‘2022 대내외 경기·금융시장 대예측 세미나’에 참석한 경제전문가들은 내년 글로벌 경제 성장세가 올해보다 둔화될 거라고 전망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세계 경제성장률을 4.6%로 전망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예상치(5.9%)보다 1.3%포인트 낮은 수치다. 미국은 올해 5.9% 성장률을 보인 뒤 내년에는 3.8%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럽은 올해 5.0%에서 내년 4.6%로, 중국은 올해 8.1%에서 내년 5.5%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코로나19 이후 회복국면이 이어지겠지만 전년에 비해선 세계 성장률이 둔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현 산업연구원장은 “코로나19의 불확실성 하에서 경제 정상화가 지연될 수 있고, 통화정책이 긴축적으로 전환되지만 추가 재정정책은 한계가 있는 만큼 성장률 하락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9%로 전망했다. 정부 전망치(3.1%)보다 소폭 낮은 수치다. 수출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사상 최고 금액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올해 기저효과에 더해 원자재 가격이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내년 수출 증가율은 1.6%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보다 0.1%포인트 상승한 3.2%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이전 수준이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올해(8.8%)보다 크게 떨어진 2.2%, 건설투자는 올해(-0.7%)보다 증가한 2.4%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美 금리인상 2회 그칠 것”

올해 기업 이익을 크게 짓눌렀던 인플레이션은 내년 2분기부터 완화될 거라는 전망이다.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있고, 내년부터 미국의 가계 지원금이 중단되면서 일터를 떠났던 노동력이 다시 돌아올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공급망 병목현상도 완화될 것이란 예상이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면서 미국 금리 인상 횟수도 시장의 예상치(3회)보다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은 “테이퍼링이 내년 3월 끝나고 미 Fed는 5~6월부터 정책 금리를 인상할 테지만 두 차례 인상에 그칠 것”이라며 “경기뿐 아니라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하고 있고, 경제활동 참여율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높이려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인플레이션이 완화하면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1회 인상하는 데 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정림 KB증권 사장도 “미국은 내년 테이퍼링 종료 후 6월에 한 번, 하반기에 한 번 인상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공급망 갈등이 최대 변수

내년 경제 성장을 가로막을 수 있는 변수로는 코로나19가 꼽혔다. 최 회장은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 글로벌 공급망에 다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반대로 획기적 치료제가 나온다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자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현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았다. 김 원장은 “미국과 중국의 경제 패권전쟁이 심화되면서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며 “공급망 무한경쟁 체제 아래서 한국이 비교우위에 있는 산업이 도전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