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를 열어 55만 개 공공 일자리의 구체적 사업을 확정했다.

17개 정부 부처가 비대면·디지털 부문에서 10만 개의 일자리를, 지방자치단체가 취약계층용 공공일자리 30만 개를 창출하는 게 골자다. 모두 6개월 이내 단기 일자리로 최저임금을 보장한다. 정부는 또 기업이 새로 고용하는 15만 개 청년 일자리에 대한 인건비를 최대 6개월간 지원한다.

비대면·디지털 부문의 일자리는 대부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수요가 늘어난 부문과 관련돼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는 데 2만 명의 인력을 뽑기로 했다. 교육부는 코로나19로 늘어난 원격교육에 대비하기 위해 초·중·고 온라인 강의 지원 인력으로 8200명을 선발한다.

보건복지부는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해주는 사업에서 1024명을 채용한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끼리 비대면 원격 협진을 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환경부는 코로나19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하자 전국 아파트와 재활용품 선별장 등에 1만843명의 지원 인력을 배치하기로 했다.

하지만 55만 개라는 일자리 창출 목표에 집중하다 보니 중복되는 사업이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공일자리 중 생활방역 지원 인력으로 7만8200명을 뽑고 비대면·디지털 일자리에도 방역지원 사업이 곳곳에 있다. 산불 같은 재해 예방,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 지킴이 같은 질서 유지, 전통시장 홍보 활동도 여러 사업에 두루 포함돼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일부 비슷한 일자리가 있을 수 있지만 추진 주체가 달라 중복되는 사업은 없다”고 설명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