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2020년 일자리 1만9천개 창출"
정보보호 스타트업 100개로 확대

내수 시장에 갇혀 있던 한국의 사이버보안 산업을 수출 주도형으로 체질을 개선한다.

사물인터넷(IoT)을 접합한 '융합보안' 등의 창업을 지원하고 보안 기업과 교육 기관을 묶은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 사업도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9일 열린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앞으로 5년 동안 국내 보안 산업의 육성 전략을 정리한 '제1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가칭 'K-ICT 시큐리티 2020')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의 초점은 '국외 진출'이다.

지금껏 정보보호 소프트웨어(SW) 등 한국의 사이버보안 산업은 중소기업이 대다수라 국내 영업에 주력했고 국외 매출은 작년 기준 1천억 원대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아프리카·중남미·중동·동남아를 4대 시장으로 지정해 디지털 포렌식(인터넷 첨단 범죄의 증거 조사)·공인인증·침해대응 모델 등 사이버보안 상품의 수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이런 신흥 시장은 현지 정부 주도로 보안 제품을 도입하는 사례가 많아 우리 정부와 공공기관의 인맥·비결이 작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미래부는 전했다.

또 각 중소기업의 국외 인지도가 낮다는 약점을 극복하고자 'K-시큐리티'라는 한국 공동 브랜드를 구축해 업체들이 공동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미래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우리 정부가 개발도상국 26개국과 함께 다음 달 발족하는 '사이버보안협력네트워크'(CAMP)도 우리 보안 기업의 국외 진출을 돕는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정보보호 산업은 CC(폐쇄회로)TV 카메라 등 대기업의 '물리보안'(하드웨어 등 물리적 조처로 하는 보안) 상품이 수출실적의 대부분을 차지해, 현재 사이버보안과 물리보안을 합친 전체 수출액이 1조6천억 원 규모다.

미래부는 이번 계획에 따라 SW 등 사이버보안 영역의 국외 매출을 대폭 늘려 정보보호 산업의 총 수출액을 2020년에는 지금의 약 2.8배인 4조5천억 원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업 활성화도 주요 목표다.

미래부는 인터넷 침해대응 센터·연구소·인력 양성소·투자기관 등을 묶은 '정보보호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계획을 추진한다.

IoT·의료기기 등의 해킹을 막는 '융합보안' 같은 첨단 기술에 대응해 빠르게 우수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을 키우고 해당 업체들이 국외 투자자와 손잡고 외국에 '원스톱'으로 진출하는 토대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미래부는 이에 따라 작년 18개였던 정보보호 스타트업을 2020년에는 100여 개로 늘리는 게 목표다.

또 창업 활성화와 투자 증대로 2020년까지 보안 관련 일자리 1만9천 개가 신규 창출될 것으로 미래부는 전망했다.

이번 계획은 공공 부문의 정보보호 예산을 계속 늘리고 의료·에너지·교통·스마트홈·가전·스마트공장 등 5개 ICT(정복기술) 융합 영역에서 보안 기능을 보편화해 보안 산업의 수요를 확대할 예정이다.

연구개발(R&D) 확대도 중요 주제로 미래부는 범부처 R&D를 강화하고 미국 국토안보부와 카네기멜런대 등 국외 유명 기관과 공동 연구를 추진키로 했다.

미래부는 이 같은 R&D 강화로 보안 분야의 최고 선도국인 미국의 81.7%(1.5년 격차)인 한국의 현재 기술 수준을 5년 뒤에는 97.7%(0.2년 격차)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t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