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에 대한 법정관리 방침은 기아그룹이 그동안
추진해온 해외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기아그룹은 현재 인도네시아 러시아 브라질 중국 터키 등지에서 대규모
사업을 진행중이다.

특히 인도네시아 러시아 브라질의 자동차 공장 건설사업은 기아그룹에
대한 부도유예협약 적용과 더불어 현지정부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해온
프로젝트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경우 부도유예협약이 적용된 직후부터 텅키
통산부장관을 한국에 파견, 우려를 나타냈으며 러시아정부는 최근 강경식
부총리에 공문을 보내 기아사태의 조기해결을 요청했다.

이처럼 각국이 기아사태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그만큼
해당 국가에도 기아사태가 큰 여파를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러시아의 경우 기아공장이 있는 칼리닌그라드주가 공장 가동이 안돼
지역경제가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나 브라질도 정부의
입장이 난처해진 상황이다.

물론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에 대한 법정관리 방침을 확정한 정부와
채권단은 기아그룹의 정상화에 가장 우선할 것은 해외사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정부 한 관계자는 "이미 기아사태가 해외사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외교적인 문제까지 야기될 위기에 온만큼 기아그룹 계열사의 해외사업에
가장 큰 비중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해외사업에 가장 중요한 것은 국내에서의 부품공급과 현지 건설에
필요한 자금 투입인 만큼 법정관리로 해외사업에 대한 어느정도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아자동차는 인도네시아에 설립한 국민차공장의 납입금조차
불입하지 못한 상황이며 러시아 중국 등지에는 부품공급이 끊긴지가
오래돼 국내공장 가동 중단의 장기화는 해외사업을 원점으로 돌려놓을
가능성도 일부에선 우려하고 있다.

특히 기아가 진행해온 인도네시아 러시아 중국 프로젝트는 수많은
해외기업을 제치고 따낸 사업권이어서 기아 해외사업의 중단은 국내
자동차업계에도 심각한 타격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업계는 따라서 "정부와 채권단이 기아의 법정관리에 들어가더라도
해외사업만큼은 해당국 정부와의 접촉을 통해 확실한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