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을 오래 쓰는 편이다. 20년 전쯤 고양이를 키우기 시작한 내게 친구가 선물해 주었던 고양이가 그려진 컵은 아직도 나의 커피잔으로 요긴하게 쓰이고 있고, 큐빅이 알알이 박힌 보라색 손거울도 내 손에 들어온 지 20년이 됐다. 동그란 휠을 돌리면 째깍거리는 소리와 함께 음악 고르는 재미가 쏠쏠한 아이팟 클래식도 10년이 훌쩍 넘었다. 이제는 아이팟에 음악을 일부러 다운로드 하지는 않지만, 워낙 담아둔 음악이 많아서 가끔 유선 이어폰을 끼고 시대를 역행해 보기도 한다. 그뿐인가. 손을 타며 색이 짙게 변한 나무나 가죽 소품들도 모두 제법 오래된 친구들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니 마치 엄청난 수집가 같은데 사실 나는 오랫동안 청소기 없이도 살았을 정도로 물건이 내 영역에 쌓이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단 한 번 내 손에 들어오면 10년씩 20년씩 동행하는 것이 어느샌가 내 스타일이 됐다. 기능보다는 함께 쌓아온 시간이 이 사소한 물건들을 대체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왔다고 해야 할까.

하콘의 터줏대감, 1978년 뉴욕 스타인웨이

하콘의 피아노도 그런 존재다. 오랜만에 만나는 연주자나 관객에게 ‘옛날 그 피아노 그대로’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하곤 하는 이 친구는 2002년 하우스콘서트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지금까지 여러 차례 공간 이전을 하는 변화 속에도 언제나 동행해 온 하콘의 터줏대감이다. 1978년산이니 나이가 상당한데 2층에서 지하로, 다시 3층과 지하로… 하콘이 공간을 옮길 때마다 계단을 오르내리며 노익장을 발휘해 왔다.
하우스콘서트의 터줏대감
이사를 다니며 피아노를 공간에 안착시키는 과정은 상당히 시행착오가 필요한 일이었다. 일단 운반 자체가 쉽지 않다. 공연장처럼 악기 반입구가 있는 것도, 피아노가 넉넉히 들어갈 엘리베이터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모두 사람 손으로 직접 옮겨야 했다. 길이 2m 74㎝에 무게는 480㎏에 달하는 만큼 장정 대여섯이 달라붙어도 한 걸음 한 걸음 옮길 때마다 곡소리가 나고, 또 계단을 오르내리다 보면 한 번씩 크게 휘청거리기도 한다.

거들 수도 없이 지켜만 보는 것도 괴로운 일이지만 운반하는 분들께 드릴 시원한 얼음물을 손에 움켜쥔 채 제발 피아노가 안전하기만을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티 내지 말아야 하는 것도 꽤 곤혹스러운 일이었다.

피아노를 반입하는 험난한 과정을 지나면 공간에 적응하는 것이 다음 과제다. 이를테면 사방이 통유리로 된 공간에서 뜨거운 여름과 추운 겨울을 견뎌야 하는 것이 하콘 피아노의 숙명이었달까. 한 번은 공간에 적응할 새도 없이 큰 위기를 맞았는데, 대학로로 옮겨와 얼마 되지 않은 때의 일이었다.

피아노가 놓인 적이 없던 곳이라 공간을 차지하는 다소 큰 부피가 부담스러웠던 모양이다. 피아노를 단차가 있는 공간으로 올려 보관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왔고 무게 때문에 매번 올리고 내리기는 어렵다고 얘기해 봤지만, 설득에는 결국 실패했다. 공연을 마친 늦은 밤, 공간 측에서 만들어 둔 경사로를 이용해 피아노를 올리기 시작했는데 480㎏의 거구를 합판 경사로는 당연히 감당해 내지 못했고 피아노와 함께 주저앉고 말았다.

“쾅!”하고 피아노가 바닥을 치는 소리가 건물 전체를 흔드는 와중에 망연자실한 박창수 선생님의 표정이 까만 밤 흑백TV 속의 유일한 컬러처럼 선명하게 들어왔다. 그것은 곧 세상을 잃은 듯한 얼굴이었다.




현재진행형 피아노
우리의 간절한 마음을 알았는지 다행히 하콘의 피아노는 아직 건재하다. 제작된 지 40년이 훌쩍 넘었으니 콘서트용 악기로서는 연식 상 이미 수명을 다했을지는 몰라도 우리는 이 악기를 고치고, 다듬고, 매만지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함부르크 스타인웨이가 주를 이루는 한국에서 뉴욕 스타인웨이는 존재만으로도 독특한 포지션인 데다, 상아 사용이 중지되기 이전에 생산된 것이라 보기 드물게 상아 건반을 가졌다는 것도, 무광의 차분한 바디도 하콘과 제법 잘 어울린다. 묵직하고 힘 있는 소리를 가졌지만 피아니스트들이 컨트롤하기 까다로웠던 성격은 몇 차례 수리하고 다듬는 과정을 거치며 보다 부드럽게 ‘에이징’ 돼가고 있다. 그러니 아직 우리 피아노는 현재진행형이다.
하우스콘서트의 터줏대감
무엇보다 이 오래된 친구는 그동안 외르크 데무스, 김선욱, 손열음, 조성진, 문지영, 박재홍, 임윤찬 등 셀 수 없이 많은 피아니스트의 손길을 거친 하콘의 역사이며 상징이다. 피아니스트 김선욱은 중3 때부터 최근까지도 이 피아노를 연주했으니 아마도 우리 피아노를 가장 잘 이해하는 연주자일 것이다. 손열음은 피아노를 교체하지 말고 조금씩 수리하며 사용하면 훨씬 좋아질 거라고 조언을 해준 고마운 연주자다. 피아니스트 한동일은 리허설 내내 피아노를 향해 “Lovely!”를 외쳤다.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와 피아니스트 케빈 케너와의 공연도, 콩쿠르 이전의 조성진이나 임윤찬의 공연도, 2020년에 열린 13시간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릴레이 공연에도, 하콘의 모든 순간에는 1978년산 뉴욕 스타인웨이가 있었다.

가끔 피아노를 후원하고 싶다는 연락이 오는데(다행인지 불행인지 한 번도 성사되지 않았다), 그럴 때마다 새 피아노의 유혹만큼이나 포기하기 어려워 피아노 두 대가 들어가는 공간으로 이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농담을 할 정도이니… 이 정도면 정말 가족이 아닌가 싶다. 아니, 우리의 모든 산전수전을 묵묵하게 받아들여 준 순간부터 이미 가족이었을지도.

관객 입장을 앞둔 공연 한 시간 전 피아노를 닦는데, 문득 여기저기 까이고 다친 상처가 눈에 들어왔다. “이곳저곳 이사 다니느라 너도 꽤 힘들었구나…” 안쓰러운 마음에 하얗게 속살이 드러난 부분을 쓰다듬으며 속삭였다. 우리도 언젠가는 헤어질 날이 오겠지만 그때까지 누군가에게 ‘옛날 그 피아노’라고 너를 자랑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게 해줘서 고맙다고, 그때까지의 하콘도 잘 부탁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