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우리 정부의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 발표에 대한 호응으로 식민 지배 사죄와 반성을 명시적으로 언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내 일본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왔다.

진창수 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장은 13일 현대일본학회가 서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주최한 ‘강제징용 해법의 평가와 의미’ 긴급 토론회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이번 한·일 정상회담 기간이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의 흐름 속에서 역사를 직시하고 계승한다는 내용을 분명히 밝혀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진 센터장은 “사죄와 반성을 한다는 기존의 문구가 정말로 살아있는지, 한국 국민은 ‘계승한다’는 말로 이해할 수 없다”며 “구체적으로 얘기해주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가 지난 6일 정부 해법 발표 이후 김대중·오부치 선언(1998년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계승한다고 밝힌 것만으로는 국내 여론을 설득하기 부족하다는 뜻이다.

조윤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기시다 총리가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 계승에서 한발 더 나아가 직접 식민 지배로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끼친 것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직접 말하는 게 필요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고 했다.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피해자를 고려해 신중하게 발언해야 한다는 비판도 나왔다.

진 센터장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지난 9일 중의원 안전보장위원회에서 한국인 강제징용과 관련해 ‘강제노동이라고 표현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데 대해 “이런 말들은 지금까지 노력해온 한국 정부에 너무나 많은 공격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협력해서 문제를 풀려고 해야지, 한쪽이 승리했다는 구도로 한·일관계 개선은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