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가 김용하 순천향대 교수와 김연명 중앙대 교수를 각각 여당과 야당 추천 민간자문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선임하면서 최고 연금 전문가로 꼽히는 두 사람이 7년 만에 머리를 맞대게 됐다. 이들은 2015년 공무원연금개혁 당시에도 여야 측에서 개혁 논의를 이끌었다. 김용하 위원장은 ‘재정 건전성’을, 김연명 위원장은 ‘소득 보장’을 상대적으로 강조해온 학자다. 국회 연금특위에선 공적연금과 함께 직역연금, 기초연금 등이 본격 다뤄질 예정이다. 올해 말까지 자문위에서 구체적 개혁 방향과 범위를 설정한 뒤 내년 1월 개혁안을 내놓는다는 구상이다. 연금특위는 복수 개혁안이 나오면 공론화를 거쳐 4월까지 단일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김용하 교수 "기금 고갈된 직역연금 그대로 두고 국민연금만 손본다면 반발 심할 것"
“연금개혁은 기본적으로 국민에게 희생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과제입니다. 이미 기금 고갈 문제가 심각한 직역연금을 놔두고 국민연금만 손보겠다면 일반 국민의 동의를 받기 어려울 것입니다.”

김용하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공동민간자문위원장(순천향대 IT금융경영학과 교수)은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재정적 측면에선 직역연금(공무원연금·사학연금·군인연금 등)이 더 심각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여당인 국민의힘 추천으로 연금개혁의 중책을 맡게 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을 거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 한국연금학회장 등을 지낸 ‘연금 전문가’다.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문위원으로 참여했다.

김 위원장은 “내년 4월 말까지인 특위 시한을 고려했을 때 현실적으로 국민연금 모수개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했다. 모수개혁은 기존 연금제도 틀은 유지하면서 재정 안정화를 위해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등을 조정하는 것이다.

야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선 연금 구조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국민에게 알리고 설득하기엔 시간이 촉박하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김 위원장은 앞서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7% 수준으로 올리고 지급 개시 연령을 현재 65세에서 68세로 높여야 한다”는 학자로서의 소신을 밝힌 바 있다. 지난 8월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도 “연금은 2057년 적립기금이 완전히 고갈된다”며 “이 두 가지만 하면 우리 2030세대가 사망할 때까지, 100세까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 “보험료율을 17%로 갑자기 올리는 건 아니다”며 “윤석열 정부가 5년 동안 해야 할 일은 단 2%포인트만 올리면 된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2%포인트씩 네 번만 올리면 17%”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특위에서 국민연금과 함께 직역연금을 다뤄야 한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는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의 핵심은 연금 수익비(총 보험료 대비 연금급여 총액 비율) 등을 국민연금과 맞추는 것이었다”며 “그런 개혁을 통해 공무원연금이 국민연금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국민연금을 낮춘다면 공무원연금도 같이 낮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직역연금 개혁은 민감한 이슈지만 국민연금과 동일한 수준의 보험료율 인상에 대해선 당사자들이 반대할 명분이 적다는 얘기다.

김 위원장은 “국민연금만 집중해서 개혁하자는 목소리도 있겠지만, 직역연금을 같이 손대지 않으면 형평성 측면을 더 악화시킨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연금 지급 개시 연령을 조정하는 것도 중요한 개혁 과제로 꼽았다. 다만 당장 한꺼번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는 점을 인정했다. 김 위원장은 “어차피 가야 할 길이면 정치적 부담이라는 이유로 자꾸 피하기보단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