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 ‘경선 불복 논란’이 경선 승복 원칙을 암묵적으로 재확인하면서 봉합되는 모양새다. 하지만 2002년 16대 대선 당시 벌어진 두 번의 불복·지지 철회 사태에 대한 기억이 민주당 지지층 사이에 남아 있어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19년前 '경선불복' 그림자…與 '명낙대전' 후유증 예고
이재명 경기지사 측과 이낙연 민주당 전 대표 측이 ‘경선 승복 선언’을 놓고 신경전을 벌인 것은 16대 대선 당시 당이 사실상 두 갈래로 쪼개진 경험 때문이다. 당시 새천년민주당(현 민주당)은 대선을 9개월 앞둔 2002년 3월부터 4월까지 경선을 치르며 노무현 후보를 최종 후보로 확정했다. 이 과정에서 경쟁 후보인 이인제 전 의원은 노 후보의 당선 뒤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있다는 ‘김심론(金心論)’을 제기하며 민주당을 탈당했다.

이 전 의원의 탈당이 경선 단계의 ‘해프닝’ 정도였다면 정몽준 전 의원과의 최종 단일화 논의는 후폭풍이 만만찮았다. 노 후보가 당 최종 후보로 정해진 뒤 민주당 내에서는 그의 후보 경쟁력을 의심하며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와의 단일화를 요구하는 이른바 ‘후보단일화협의회(후단협)’가 출범했다. 노 후보는 단일화 요청을 수락했고, 여론조사에서 승리해 최종 후보로 당선됐지만 정 후보가 선거일 전날 밤 지지 철회를 선언하며 대선 결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으로 내몰렸다. 선거일 노 후보 지지층이 막판 대결집에 나서 노 후보가 16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하지만 당은 내홍을 겪었다. 당시 후단협을 주도한 인사 중 원유철, 김원길, 박상규, 전용학 의원 등은 야당으로 향했고, 잔류 의원들은 대선 후 열린민주당과 새천년민주당으로 갈라졌다. 후단협 사태는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사태의 시발점이 됐다는 평가다.

경선 불복으로 인한 아픔은 국민의힘의 전신인 신한국당도 경험한 적이 있다. 15대 대선 당시 신한국당 소속이던 이인제 전 의원은 15대 대선 당시 경선 결과에 불복해 탈당한 뒤 국민신당 후보로 출마했다. 당시 이 전 의원은 19.2%의 득표율을 기록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신승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5년에는 이른바 ‘이인제방지법’으로 불리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돼 정당의 선거 경선에서 탈락하거나 중도 사퇴한 후보자는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는 것이 법적으로 금지됐다. 과거와 같은 탈당 후 출마가 오늘날 자취를 감춘 계기다. 다만 이후 선거에서도 경선 이후 특정 후보가 최종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는 논란은 되풀이됐다.

약 20년 전의 사건이 오늘날 민주당에서 회자되는 것은 1위 후보인 이 지사에 거부감이 강한 민주당 지지자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설훈 민주당 의원은 지난 12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전 대표를 지지하는 분들의 32%가 (이 전 대표의 탈락 시) 이 지사를 지지하지 못하겠다고 하는데, 그들을 설득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고 했다. 이재명 캠프는 이 발언을 이 지사가 민주당의 최종 후보로 결정됐을 때 이 전 대표가 원팀으로 돕는 대신 외면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