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이 P2P 채권 투자하면 대출 플랫폼 옥석 가려질 것"
“기관투자가들이 국내 대출 플랫폼의 중개 채권에 투자할지가 관건입니다.”

개인 신용대출을 취급하는 개인 간(P2P) 대출 플랫폼 업체 렌딧의 김성준 대표(사진)는 9일 “P2P 금융업체의 덩치는 커졌지만 리스크 관리 등 내실은 후퇴했다”며 “연기금, 증권회사 등이 P2P 채권에 투자하면 플랫폼 간 옥석이 가려지고 개인투자자도 안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렌딧은 2015년 3월 설립됐다. 신용등급 4~6등급인 개인에게 연 10% 안팎의 금리로 신용대출을 주선해주고, 투자자와 대출자로부터 각각 1~2% 정도의 수수료를 받는다. 개인 신용대출을 주로 다루는 이유에 대해 김 대표는 “중신용자에게 비즈니스 기회가 많기 때문”이라며 “과거 15년의 금융 데이터를 보면 신용등급이 6등급보다 높은 개인 신용대출의 부실률은 매우 안정적으로 관리돼왔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P2P 대출 중개를 하는 5개 회사가 속한 마켓플레이스금융협의회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그는 P2P 대출보다는 중개의 의미를 강조한 ‘마켓플레이스 대출’이라는 용어를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P2P 대출 회사가 수신을 받을 땐 ‘개인(peer)’과 ‘사모(private)’ 자금의 경계가 없어지고, 대출해줄 땐 개인 대출과 기업, 부동산 대출의 구분이 모호해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금융위원회가 국회에 제출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도 같은 의미다. 김 대표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P2P 금융 법제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별 대출채권이 부실화하면 중개 플랫폼의 부실로 전이될 수밖에 없다”며 “법안에는 대출채권과 취급사의 건전성을 분할해 관리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