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
대가의 투자법 4회의 주인공 제시 리버모어는 투자 성과만큼이나 굴곡진 인생사로 회자된다. 리버모어는 1929년 세계 대공황 때 적극적인 공매도를 통해 10월 주가 대폭락 동안 현재 가치로 약 20억 달러에 달하는 돈을 벌며 이름을 널리 알렸다. 리버모어의 몰락은 그의 비상만큼이나 극적이었다. 그는 주식투자 실패로 네 번 파산했으며 1940년 11월에는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1.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3.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4.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5.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6.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7.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8.1.jpg)
모멘텀 투자자에게는 종목의 추세와 시장의 추세를 동시에 파악하고, 추세에 변동이 생기거나 본인의 판단에 착오가 있었다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홍 교수는 강조한다. 보유한 종목이 내재가치에 도달할 때까지 뚝심있게 기다릴 것을 강조하는 가치투자자와는 상반되는 능력이 요구되는 셈이다.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19.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20.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21.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22.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23.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24.1.jpg)
![[투자대가 4탄] 개미의 전설! 추세매매의 창시자 제시 리버모어](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B.20046425.1.jpg)
투자자가 리버모어의 수익률을 모방하면서도 리버모어의 비극적인 개인사를 피하기 위해서는 위험을 분산하는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홍 교수는 전통적인 리스크 헷징 수단인 자산 배분(채권이나 달러 자산 등 안전 자산을 분할 보유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일종의 안전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가치투자 전략과 모멘텀 전략은 모두 매력적인 전략이지만 동시에 수익률이나 종목 가격의 방향이 상당히 다르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인다”며 “연기금들이 그러듯 주식투자 내에서도 다양한 스타일의 전략들을 배분해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전범진/강영연 기자 forward@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