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비상사태 터지면 전력·통신·건설·금융맨 즉시 직장복귀
“전쟁시 부산만 빼고 모든 통신이 두절된다는데 정말인가요?” “국방부가 작전용으로 민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징발한다는 게 사실인가요?”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비상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질문이 잇따르고 있다. 미국과 북한이 전에 없이 군사적 타격을 거론 중인 데 따른 불안감이다. 전쟁 가능성이 낮다지만, 행정안전부가 마련한 전시행동 매뉴얼인 ‘비상 대비 행동요령’의 숙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차량 키 꽂아 도로 우측 정차 후 대피

유사시 정부는 대통령과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전쟁지도본부’를 설치하고 전시 상황을 통제한다. 시민들은 TV와 라디오 방송을 켜고 정부 안내를 따르는 게 우선이다. 전시에는 유언비어가 난무하기 마련이다. 적이 혼란을 키우려고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퍼뜨리기 때문이다.

동원령이 떨어지면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이 발동된다. 동원 대상으로 지정된 업체의 직장인은 회사로 집결하면 된다. 직장에서 주요 시설을 지키는 역할을 하거나 군 작전 지원 활동을 수행한다. 동원 대상 업체는 전력·운수·방송·통신·보건·건설·금융·조폐·신문·출판·영화·문화·관광·환경·연구개발·사회복지·소프트웨어 및 정보보호 분야이다. 이들 회사는 관련 주무부처 장관 통제를 받게 돼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민간 기업에도 전시 임무가 전달된다”며 “동원 업체 현황과 종사자 수는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운전 중인 사람은 차를 공터나 도로 우측에 정차하고 대피하면 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도로 위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키를 꽂아 둘 것을 권장한다”며 “통신망 마비를 예방하기 위해 불필요한 전화 사용도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군이 간선도로를 통제하기 때문에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게 좋다. 동원령이 선포되면 일부 개인 차량도 징발된다. 국토교통부는 매년 초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SUV나 트럭을 무작위로 동원 대상으로 지정·통보하고 있다. 통보받은 적이 없다면 동원 대상 차량이 아니다. 매년 15만~20만 대가 징발 대상에 지정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재난안전포털서 대피소 확인해 둬야

예비역들은 연초에 배송되는 ‘병력동원소집통지서’에 적힌 곳으로 입영하면 된다. 예비군 1~4년차는 지정된 군부대로 소집되며 5~6년차는 지역 방어에 투입된다. 7~8년차와 민방위는 군의 판단에 따라 징집 여부가 결정된다. 전시에는 여성도 자원 입대할 수 있다.

대피령이 떨어지면 준비한 물자를 챙겨 인근 대피시설로 이동해야 한다. 영업장은 즉시 손님들을 대피시설로 유도해야 한다. 직장이나 집 근처에 있는 대피시설 위치를 미리 확인해 두는 게 좋다. 대피소는 보통 지하철 역사나 주민센터, 아파트 지하 주차장, 학교 등이다.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주소를 입력하면 금방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필요시 배급제를 시행한다. 행안부는 비상 생활필수품 준비를 권고하고 있다. 조리와 보관이 간편한 쌀이나 라면, 밀가루, 통조림 등 30일분을 준비하면 된다. 코펠, 버너, 부탄가스(15개 이상) 등 취사도구와 휴대용 전등, 배낭, 성냥 등도 준비물이다. 휴대폰 통신이 두절될 수 있기 때문에 라디오와 배터리도 준비해야 한다. 비상 의약품과 함께 지병이 있는 경우 최신 처방전을 구비해 두는 것이 좋다. 행안부 관계자는 “신분증(어린아이는 명찰)과 재산 관련 서류 사본도 보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경보별 대처 요령은 숙지해야 한다. 평탄음으로 1분간 사이렌이 울리면 적 공격이 예상된다는 ‘경계경보’다. 준비 물자를 점검하고 대피를 준비하라는 신호다. 공습경보가 울리면 대피시설로 이동하면 된다. 공습경보는 5초간 사이렌이 울린 뒤 1초간 중지하는 식으로 반복해 3분간 울린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