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외국인 급매도…'한국 증시 이탈신호' 인가
이른바 ‘삼성전자 쇼크’로 채권시장에 이어 증시에서도 외국인이 매도세로 돌아섰다.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가 흔들리면 일본으로 이탈한 외국 자금이 환류해 주가가 본격적으로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채 가시기 전에 갑작스럽게 발생한 상황인 만큼 최근 매도세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현시점에서 투자자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외국인이 매도세로 돌아선 배경과, 다른 하나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지속성 여부다. 이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글로벌 자금 규모와 국제 자금흐름 구조 재편, 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시각, 국내 증시의 투자매력도 등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외국인 급매도…'한국 증시 이탈신호' 인가
전체적인 글로벌 자금 규모가 줄어들면 그동안 많이 유입되고 수익이 났던 국가에서 우선적으로 자금을 회수한다. 특히 글로벌 투자 비중이 높은 선진국에서 자금이 줄어들 경우 이 현상은 신흥국에서 심하게 나타난다.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 사태 직후 반사이익까지 기대했던 한국 등 아시아 신흥국에서 대거 자금이 이탈했던 때가 전형적인 예다.

앞으로 출구전략이 추진되면 글로벌 정책자금 공급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전체적인 규모에는 큰 변화가 없다. 오히려 금융위기 과정에서 퇴장했던 통화가 시중에 방출되고 통화유통속도, 통화승수 등 경제활력지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 증시 주변 자금은 늘고 있다.

절대 자금규모는 줄지 않더라도 국제자금흐름 구조가 재편되면 그동안 많이 유입됐던 국가에서는 자금이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른바 ‘투자기상도상의 조정’이다. 여러 가지 결정 요인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투자 대상국별 상대수익률과 중장기적으로 핵심 성장 동인이 바뀔 때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국별 수익률에 있어 올 들어 상대적으로 덜 오른 증시의 매력이 부각돼 왔다. 아베노믹스 추진 이후 체리 피킹 투자매력(주가가 적정 수준보다 떨어질 때 체리가 무르익어 따먹으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는 것에 비유해 생긴 용어)이 부각됐던 일본 증시가 크게 올랐다. 벌써부터 이들 국가가 거품이 우려되는 단계에서는 한국 증시가 매력적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추진 여부와 관계없이 출구전략 추진 우려가 제기되면서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금리가 오르는 것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금융위기 과정에서 신흥국에 유입된 외국 자금이 캐리자금 성격이 강한 점을 감안하면 이 자금을 밀어냈던 투자국의 대표금리가 오를 경우 이탈할 소지는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최근 우려가 높아지는 선진국 금리 상승에 따른 신흥국 자금이탈 조짐이 ‘위기 확산형’으로 악화할 것인가, 아니면 ‘위기 축소형’으로 수렴할 것인가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하나는 레버리지 비율(증거금 대비 총투자금액)이 얼마나 높냐와 다른 하나는 투자 분포도가 얼마나 넓냐 하는 글로벌 정도에 좌우된다.

이 두 지표가 높으면 높을수록 위기 확산형으로 악화되고 디레버리지 대상국에서는 위기 발생국보다 더 큰 ‘나비 효과’가 발생한다. 다행히 ‘볼커 룰’로 상징되는 위기 재발 방지노력으로 미국 등 선진국 금융사들의 두 지표는 개선돼 캐리자금 환류 시 신흥국에 더 충격을 주는 ‘나비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시각에도 특이할 만한 변화는 없다.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과 외평채 가산금리 등이 작년 말보다 소폭 상승하고 있지만 일상적인 변화다. 굳이 상승 배경을 따진다면 우리 경제에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는 출구전략 추진 우려가 불거진 탓이 크다.

해외 시각 변화를 예상해 본다면 국가신용등급에서 지난 2년 동안 돋보이던 매력은 다소 줄어들고 있으나 대표 기업들의 매력은 더 커질 수 있다. 아베노믹스 회의론이 확산하면서 과도했던 엔저(低)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대표 기업들이 우리 경제의 해외 시각을 개선하고 국가신용등급을 보완하는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해외 시각과는 별도로 포트폴리오상의 투자매력도가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외국인들이 국내 증시에 투자할 때 관행적으로 중시하는 몇 가지 지표로 판단해 보면 우선 원유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특성상 유가가 100달러 넘으면 일단 한국 투자를 신중하게 결정한다. 최근 유가는 90달러 내외 수준까지 떨어지고 있다.

한국 투자 시 환차익 발생 여부도 중요한 요인이다. 우리는 원달러 환율이 1070원 밑으로 떨어지면 적정환율 수준을 끌어내릴 수 있는 펀더멘털 요인이 없다면 환차익 소지가 줄었다고 판단한다. 올 1월 중순에는 원달러 환율이 1050원 내외까지 급락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1100원 이상에서 움직여 환차익이 기대되는 수준이다.

외국인 매도세가 비교적 크지만 글로벌 자금 규모, 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시각 등과 같은 핵심 요인에 있어 큰 변화는 없다. 일부에서 우려하는 ‘한국 증시를 본격적으로 떠나가는 신호’는 아니라는 의미다. ‘삼성전자 쇼크’만 가신다면 외국인 매도세는 조만간 진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