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주의 은퇴가 가계소비 지출을 9% 정도 감소시킨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최하위 계층에서는 은퇴에 따른 소비 감소폭이 17%에 달해 저소득층 사회안전망 확충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미시경제연구실의 김현정 실장과 윤재호 과장은 18일 `금융경제연구'에 게재한 `은퇴와 가계소비간 관계 분석' 자료를 통해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를 대상으로 은퇴 후 소비가 감소했는지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서 은퇴는 전체 소비지출을 9% 정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유자산 계층별로는 자산 기준으로 하위 25%인 1분위 계층에서 소비가 17% 감소해 전체 은퇴가구의 감소폭보다 훨씬 컸다.

자산 기준 하위 25~50%인 2분위는 소비가 약 2% 감소하고 최상위층 25%인 4분위는 약 4% 줄어든 반면 상위 25~50%인 3분위에서는 약 3% 증가하는 등 다른 계층에서는 의미 있는 소비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 실장은 "이는 1분위 계층의 경우 은퇴 후 후생이 많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소비 항목별로는 차량유지비(21%), 대중교통비, 피복비 등 기타소비(14%) 등의 지출이 큰 폭 감소해 취업관련 지출 감소가 은퇴 후 소비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은 "은퇴하지 않은 가구를 대상으로 은퇴 시 소비 감소를 분석한 결과 소비가 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예상치않은 은퇴 발생 시 소비가 추가로 6% 정도 더 감소할 가능성을 시시한다"고 설명했다.

예상치 않은 은퇴의 영향 역시 자산규모가 작은 최하위 계층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김 실장은 "앞으로 은퇴자 비중 증가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때 최하위 자산계층과 비자발적 은퇴자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며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은퇴 전후 소득과 소비 변화폭을 완화하기 위한 임금피크제 등 임금제도 개선, 중고령층 일자리 창출 방안 등 대책을 더욱 다양하게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harris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