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아파트 분양 시장의 청약 열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치가 높은 새 아파트를 저렴한 분양가에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집값 상승세가 주춤한 상황이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지방 시장이 양극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7일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은 164.3 대 1(지난 15일 기준)을 기록했다.

지난해(78.9 대 1)보다 경쟁률이 두 배 이상 뛰었다. 분양가 통제로 시세보다 싼값에 청약을 받으면서 수요가 대거 몰렸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이 같은 분양 시장의 호황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둔촌주공, 신반포15차 등 강남권 단지의 경우 청약 가점이 60점대 중후반으로 높지 않으면 당첨이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만약 대형 단지들이 분양가 산정 등으로 후분양을 선택할 경우 물량이 크게 줄어 당첨 가능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

지방 분양 시장은 수도권에 비해서는 열기가 식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수요층이 두터운 수도권과 달리 시장 동향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공급 과잉 우려가 제기된 대구를 비롯해 경남, 경북, 전남, 전북 등지에서 청약 미달 사례가 나오고 있다. 한 대형 건설회사 관계자는 “분양 시장의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내년에 심해질 수 있다”며 “수도권 중에서도 서울 수요만 올해만큼의 인기를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분양가 상한제가 내년에도 분양 시장을 좌우할 요인이 될 것으로 입을 모았다. 이 제도는 아파트 분양가를 산정할 때 건축비에 택지비를 더해 일정 이익만 남기게 하는 제도다. 문제는 분양가 산정을 둘러싼 잡음이 커지면서 재개발·재건축 단지의 분양 일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건설사와 조합 측은 분양가가 기대보다 낮게 책정되면 수익성이 나빠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올해는 분양가 상한제에 따른 갈등으로 둔촌주공 등 분양 일정이 지체되는 곳이 많았다”며 “이 제도가 개선되지 않으면 내년에도 분양을 못 하는 단지가 대거 나올 수 있다”고 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