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시 시주석 집권 3기 외교 첫단추될듯
시진핑, 11월 바이든 대면 주목…美 대만정책법안이 변수
32개월 만에 외국 방문을 재개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다음 외교 행보에 외교가의 관심이 쏠린다.

이번 중앙아시아 방문은 '진영 다지기' 행보로 평가된다.

시 주석은 중국이 주도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준동맹'인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만났고, 두 방문국인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에다 몽골,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등 8개국 정상들과 양자회담하는 강행군을 했다.

반미를 공통분모로 가진 러시아와 공조 의지를 재확인하는 한편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와 에너지·자원 조달 면에서 중요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차이나머니'를 앞세워 '우군'으로 묶어두려는 의중이 읽혔다.

시 주석이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때 150억 달러(약 21조원) 규모의 무역·경제 및 투자 협력에 관한 협정에 서명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처럼 자기 진영을 굳건히 한 시 주석은 내달 16일 개막하는 제20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한 뒤 11월 동남아에서 열리는 다자 정상회의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1월에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11월 15∼16일·인도네시아 발리)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11월 18∼19일·태국 방콕)가 예정돼 있다.

시 주석이 이들 회의에 참석하면 중앙아시아와 더불어 중국의 인접 지역인 동남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다지게 된다.

이 역시 '진영 외교'의 의미가 있는 셈이다.

그러나 국제 사회가 주목하는 것은 G20 등 계기에 시 주석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만날지 여부다.

시진핑, 11월 바이든 대면 주목…美 대만정책법안이 변수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로부터 'G20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 만날 생각이냐'는 질문을 받고 "만약 시 주석이 온다면 시 주석을 만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이 바이든 대통령과 만난다면 그것은 당 대회 이후 집권 3기 대외 정책의 첫 단추를 끼우는 중요한 회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시 주석이 15일 열린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대미 비판을 자제하고, 서방과 입장을 달리해온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직접 언급을 피한 것은 주목되는 대목이었다.

그러나 대만을 사실상의 동맹국으로 취급하는 내용을 담은 대만정책법안의 입법 동향이 11월 미·중 정상회담 성사 여부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중국 외교부는 법안이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를 통과하자 15일 외교부 대변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극도로 엄중한 후과를 조성할 것"이라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위한 모든 필요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8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직전 대미 경고보다 오히려 더 높은 수위의 경고를 한 것이다.

법안의 진행 상황은 회담 성사 여부와 성사될 경우 회담의 성격에 지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시 주석이 대면 정상외교를 재개함에 따라 윤석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시기와 장소에도 관심이 쏠린다.

직전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한국 정상이 두 차례 중국을 방문한 만큼 이번에는 시 주석이 방한할 차례라는 것이 한국 정부의 입장이다.

다만 11월 다자회의 계기 양자회담에도 열려 있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측 인사들은 윤석열 정부 출범 전 한중간 외교 협의 과정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좋아져 시 주석이 해외 방문을 재개하면 첫 방문국은 한국이 될 것'이라는 말을 자주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이 5월 취임 후 한미동맹 강화 및 친 서방 행보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중국은 한중 관계 중시 기조를 강조하면서도 한국 정부의 대중국 기조를 유심히 관찰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왔다.

이런 상황을 종합하면 윤 대통령과 시 주석의 첫 정상회담은 11월 동남아 다자회의 계기에 이뤄지거나, 그 이후에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진핑, 11월 바이든 대면 주목…美 대만정책법안이 변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