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오른쪽)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6월 1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환담을 나누는 모습. 뉴스1
윤석열 대통령(오른쪽)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6월 1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환담을 나누는 모습.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2주 연속 상승하며 반등 곡선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가처분 신청 등으로 고령층이 결집했을 뿐 나머지 세대와 지역에선 오히려 지지세가 더 악화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19일 한국갤럽이 지난 16~18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잘하고 있다’는 긍정 응답은 28%,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응답은 64%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추이. 갤럽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추이. 갤럽
앞서 2주 전(8월 2~4일) 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24%로 지난 5월 취임 후 가장 낮았다. 1주 전인 같은 달 9~11일 조사에서는 25%로 1%포인트 소폭 반등했다. 이번 주에는 다시 3%포인트 상승하면서 2주 연속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세대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70대 이상 연령층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1주 전보다 13%포인트 급등한 57%를 기록해 50%대를 회복했다. 60대에서도 6%포인트 상승했다.

보수층(48%→50%)과 국민의힘 지지층(55%→58%)에서도 윤 대통령 지지율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20대에서는 4%포인트 하락해 지지율이 18%까지 떨어졌다. 30대(18%)와 40대(14%)에서도 지지율은 여전히 20% 미만 수준에 머물렀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TK)에서 지지율 하락이 눈에 띄었다. 윤 대통령의 TK 지지율은 28%로 1주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 TK가 윤 대통령이 속한 국민의힘의 ‘텃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결과다. 다만 광주·전라 지역 지지율은 같은 기간 12%에서 19%로 7%포인트 상승했다.
갤럽 8월 3주차 지역 성별 연령별 지지율
갤럽 8월 3주차 지역 성별 연령별 지지율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 지지율이 반등한 이유를 놓고 해석이 분분했다. 이번 조사 기간에는 윤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15일)와 취임 100일 기자회견(17일) 등 이벤트가 반영됐다.

한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광복절에 북한에 비핵화를 촉구하면서 ‘담대한 구상’을 제시했고, 일본에 대해서는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언급하면서 과거사 문제는 언급하지 않아 보수층으로부터 호응을 얻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0일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에 효력정지 가처분을 법원에 신청하고 13일에는 13일 기자회견을 열어 윤 대통령을 비난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대한 가처분 신청 등과 관련해 직접 입장을 밝히던 중 눈물을 훔치는 모습. 연합뉴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대한 가처분 신청 등과 관련해 직접 입장을 밝히던 중 눈물을 훔치는 모습. 연합뉴스
당초 보수층에서도 이 전 대표에 대한 ‘동정론’이 일부 있었지만 국민의힘 비대위에 이어 윤 대통령까지 강도 높게 비난하고 나서면서 ‘과도한 발목잡기’로 판단하는 여론이 그만큼 늘었다는 얘기다.

천하람 국민의힘 혁신위원은 19일 KBC라디오 ‘백운기의 시사1번지’와의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 상승은)지지층의 위기감으로 인한 소폭 결집”이라며 “질이 좋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천 위원은 “60~70대에서 ‘이러다가 정말 정권이 흔들릴 수 있겠다’는 것과 탄핵 트라우마, 또 이준석 대표가 각을 세게 세우면서 이 대표에 대한 반감이 윤 대통령에게 좋은 쪽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60~70대 결집만으로 간다라는 것은 저희 당 입장으로 보면 도로 새누리당 또는 자유한국당이 생각날 수밖에 없는 반등이기 때문에 뒷맛이 개운한 지지율 반등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