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24일 미국과 북한이 2~3주 안에 비핵화 관련 실무협상을 열 가능성이 높고, 남북한 간 정상회담도 이 협상 진전과 연계돼 전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말 ‘미·북 하노이 회담’ 결렬 후 7개월 동안 멈춰 있던 한반도 비핵화 협상의 시계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답변자료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답변자료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미·북 연내 3차 정상회담 가능”

국정원은 이날 서훈 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보고했다. 이혜훈 정보위원장과 정보위 여야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자유한국당 이은재·바른미래당 오신환 의원은 국정원이 보고한 미·북 실무협상 시기, 남북회담 성사 전망, 북·중 정상회담 예상 등 각종 현안에 대해 브리핑했다.

국정원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비핵화 실무협상 의지를 발신하며 대미 협상을 재점화하고 있다”며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가 실무협상의 수석이고,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총괄지휘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실무협상에서 합의가 도출될 경우 연내 3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실무협상 장소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선 “김정은은 하절기 들어 원산에 수시로 체류하며 꾸준히 미사일 발사를 참관해 왔다”고 전했다. 또 “지난 5월 이후 단거리 발사체 발사를 지속하며 전력 보강과 안보 이슈화를 통해 대남·대미 압박 수위를 높였다”며 “새로운 미사일을 도입해 시험 중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단거리 미사일을 더 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릴 한·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이 참석할 가능성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국정원은 김정은의 11월 부산 방문 관련 질의에 “비핵화 협상 진행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부산에 오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질지에 대해선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비핵화 협상 진전과 연계돼 전개될 것으로 본다”며 “북핵 협상에 진전이 있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고 했다. 김정은의 부산 방문과 관련해선 브리핑 과정에서 다소 혼선을 빚기도 했다. 정보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초기엔 “가능성이 높다”고 확정적인 분위기로 발언했지만, 이후 추가 브리핑에서 국정원이 선을 그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10월 초 북·중 5차 회담 열릴 듯

국정원은 김정은의 5차 방중 가능성이 높다며 관련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김정은의 5차 방중설은 최근 외교가에서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국정원은 “북·중 수교일인 10월 6일을 전후해 가능성이 점쳐진다”고 보고했다. 장소는 베이징 또는 동북 3성(지린성, 헤이룽장성, 랴오닝성)이 유력하다고 했다. 김정은은 지난해 3·5·6월, 올 1월 등 총 네 차례 중국을 방문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6월 전격 방북해 북·중 친선 관계를 과시했다. 김정은과 시 주석의 회담 의제는 친선 강화와 미·북 협상 관련 정세 인식 공유, 추가 경제협력 논의 등이 될 것이라고 국정원은 전망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과 관련해선 “일본이 우리보다 아쉬운 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국정원은 “지구의 곡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레이더를 포착하는 것보다 일본에서 레이더로 포착하는 게 시차가 늦다”고 밝혔다. 반면 이혜훈 위원장은 정보위 전체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다른 정보기관의 보고와는 상충된다”며 “다른 기관에선 ‘일본은 정찰위성이 5대나 있고 우리는 1대도 없어서 일본의 정찰정보가 요긴하다고 보고했다”고 지적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