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옹성 같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역대 정권보다 빠르게 50% 아래로 떨어졌다. 4개월 새 34%포인트 빠질 만큼 추락 속도가 빠르자 청와대 내부에서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통령 지지율을 떠받치는 한 축이 남북한 관계인 만큼 오는 18일로 예정된 ‘평양 정상회담’으로 지지율이 반등할 가능성이 높지만 장기적으로 지속될지는 의문”이라고 보고 있다.
고용 참사, 자영업 타격, 집값 급등에 전통 지지층까지 '흔들'
◆“대형 악재 없는 게 더 문제”

7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9월 1주차 여론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부정평가는 42%에 달했다. 취임 이후 40%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긍정평가(49%)와의 격차도 어느 새 7%포인트 차로 좁혀졌다. ‘민생문제 해결 부족’ ‘부동산 시장 불안정’ ‘일자리 문제’ ‘과도한 복지’ 등이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심리적인 마지노선’으로 불리는 50%대 아래로 추락하면서 청와대는 잔뜩 긴장한 상태다. 긴 시간과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소득주도성장’ ‘포용국가’ 등 경제·사회 핵심 정책이 자칫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덤덤하려 하지만 긴장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표현했다.

문제는 추락 속도다. 어느 정권보다 지지율 고공행진을 펼쳐온 만큼 충격파가 더욱 크다. 특히 역대 정권에 비해 50%벽이 무너진 시점이 다소 빠르다.

낮은 지지율로 시작한 이명박(52%), 박근혜(44%) 전 대통령에 비하면 그나마 상황이 낫다. 하지만 70% 이상 국정 지지율이 올랐던 경험이 있는 김영삼, 김대중 정부와 비교하면 40%대로 지지율이 내려앉은 시점이 다소 앞선다. 김영삼, 김대중 정부는 나란히 취임 후 1년6개월 만에 50% 선이 붕괴됐다. 문재인 정부는 이보다 2개월 빠르다.

나라 전체가 뒤흔들린 큰 악재가 없었다는 점도 위기감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다. 김영삼 정부 시절 지지율이 40%대로 떨어졌을 당시 김일성 주석 사망과 이로 인한 남북한 정상회담 무산이라는 대형 이슈가 터졌다. 1999년 8월 당시 46%를 기록했던 김대중 정부 지지율 역시 옷로비 의혹 사건과 제1연평해전 등이 영향을 미쳤다.

허진재 한국갤럽 이사는 “큰 이슈 없이 정책적 실패로 지지율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점을 청와대가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블루칼라·진보층 돌아서나

문 대통령의 지지층이 돌아서면서 향후 지지율이 반등할 것으로 낙관하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평양 남북 정상회담 등의 이벤트가 있지만 단발성 이슈로는 내림세를 막아서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특히 갤럽 조사에서 50대, 자영업자의 지지율 하락폭이 눈에 띄게 크다. 지난 6월 둘째주 조사 대비 자영업자의 지지율은 76%에서 3개월이 채 되지 않아 32%로 추락했다.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으로 곤경에 빠진 자영업자들이 대거 부정적으로 돌아선 셈이다. 여권 내에서는 진보진영의 이탈도 뼈아프다고 보고 있다. 문재인 정부를 지지하는 진보진영에서 같은 기간 지지율이 20% 가까이 빠졌다.

지역, 세대별로도 거의 전 부문에서 지지율이 떨어졌다. 한국갤럽은 “지난주와 비교하면 20대부터 50대까지, 서울 이외 전 지역에서 긍정률이 4~8%포인트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예산을 투입해서라도 ‘모두가 잘사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 기조와 달리 부유층 지지율이 더욱 높게 나타나는 역설적인 조사 결과도 발견됐다. 이번 조사에서 생산직 노동자를 뜻하는 블루칼라의 지지율(54%)이 샐러리맨을 지칭하는 화이트칼라의 국정 지지율(60%)을 밑돌았기 때문이다. 생활 수준이 ‘상 혹은 중상’이라고 응답한 자의 지지율(48%)도 중하(45%), 하(39%)라고 답한 응답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때 90%를 웃돌았던 젊은 층 지지율도 60% 초반으로 내려앉았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남북관계에 대한 지지율은 이미 반영된 상태로 보인다”며 “소득주도성장, 부동산 정책 등 청와대와 정부의 정책 혼선과 엇박자를 바로잡지 않으면 향후 전망도 어둡다”고 진단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