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확정될 예정인 올해 수도권 공장 총량 규모를 둘러싸고 수도권과 충청권 지방자치단체들이 또 다시 치열한 `기 싸움'을 벌이고 있다. 수도권 지자체들이 행정 수도 이전에 따른 보상적 차원에서 수도권 공장 총량 규모의 대폭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충청권 지자체들은 논의 단계에 불과한 행정 수도 이전을 내세워 수도권 규제를 완화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맞서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수준인 267만3천㎡의 공장 총량 규모는 수도권 공장 신축 허가 신청을 수용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올해는 총량 규모를 대폭 늘려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공장 허가 신청을 했으나 공장 총량제에 묶여 공장을 짓지 못한 면적이 경기도에만 62만7천㎡에 이르며 올해는 132만㎡로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행정 수도의 충청권 이전 추진에 따른 수도권 주민들의 상실감을 보상해주기 위해서라도 수도권 규제 완화가 대폭 이뤄져야 한다는 논리이다. 이에 대한 충청권 지자체들의 입장은 단호하다. 논의 단계에 있을 뿐 이전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행정 수도 이전 계획을 빌미로 수도권 규제를 완화할 경우 수도권 집중화와 이로 인한 지역 불균형 발전이 더욱 심화된다는 것이다. 수도권 공장 총량 규모를 늘릴 경우 비수도권 산업단지들의 공장 용지 미분양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지방 경기 침체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 공장 총량 규모를 늘리는 것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 충청권을 중심으로 한 비수도권 지자체들의 확고한 입장이다. 지난 19일 열린 건설교통부 수도권 공장 총량제 관계기관 대책회의에서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자체들이 워낙 팽팽하게 맞서 이렇다할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해마다 수도권 공장 총량 규모를 놓고 날을 세웠던 양측은 올해 행정 수도 이전과 지방 분권이라는 새로운 이슈를 접목시켜가며 더욱 예리하게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다음달 하순 확정될 예정인 올해 수도권 공장 총량제 규모와 관련 양측이 어떤 형태로 타협점을 찾아갈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주=연합뉴스) 박종국기자 pj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