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강의 상습적인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상 첫 남북간 공동조사가 이달 하순 이뤄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임진강 일대의 홍수방지를 위한 남북간의 구체적인 협력작업이 가시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왜 하나= 임진강 유역은 96년, 98년, 99년 잇따라 홍수가 발생, 116명의 인명피해와 9천96억원의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유속이 빠른데다 임진강 유역에 댐이 없기 때문. 이를 막기 위해선 임진강 상류에 댐을 설치하고, 대대적인 조림(造林)을 해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지적이다. 하지만 임진강은 유역의 3분의 2가 북측에 속해 있어 남측에서 이같은 대책을마련하는데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남측은 99년 북측에 △임진강 유역의 남북 공동조사 △기상 및 수문(水文) 정보 교환 △임진강 유역에 심을 묘목제공 등을 제안했다. 그리고 2000년 8월 제2차 장관급 회담에서 이같은 내용에 대해 원칙적으로 합의했고, 이듬해 2월 1차 임진강 수방 실무협의회를 갖기도 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합의사항을 만들지 못한채 1년 이상 끌어왔다. ◆어떻게 하나= 이번 회담에서 남북은 이달 하순에 공동조사를 벌이기로 합의했다. 조사단은 각각 대표단과 수자원 전문가를 포함해 모두 40-50명 정도로 구성된다. 조사단은 북측의 임진강 유역과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한강하류에 대한 조사도 실시할 방침이다. 이 지역은 비무장지대로 그동안 학술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남북 대표단은 또 임진강 홍수피해를 가중시켰던 서해조류가 한강하류에 미치는영향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홍수피해 최소화를 위해 필요한 기상 및 수문자료 교환과 구체적인 조사방식, 임진강 유역에 심을 묘목 수와 수종 등에 대해선 의견일치를 보지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단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양측이 합의할 경우 20일께 공동조사단을 구성해임진강 유역 공동조사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임진강 수해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임진강 예.경보 시스템을 설치하는 방안도 요구할 방침"이라고말했다. (평양=연합뉴스) 공동취재단 강의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