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란트 직원 1880억원 횡령 사건은 볼수록 어이없는 후진형 범죄다. 회사가 바로 이 사실을 공시했고, 경찰이 공범 여부까지 파악하고 있으니 전모는 곧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 임플란트시장 1위 상장기업에서 자기자본의 92%에 달하는 거액이 3개월에 걸쳐 빠져나갔는데도 몰랐다면 내부통제 시스템에 이상이 있어도 단단히 있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 회사는 연 매출 6300억원에 소액주주 2만 명, 외국인 지분율도 44%에 이르는 ‘공개 기업’이다. 시가총액 2조원의 코스닥 23위 기업에서 재무담당자의 은행 잔액서류 위조만으로 장기간에 걸쳐 거액의 회삿돈을 빼돌리는 게 과연 가능한 일인가. 더구나 8년 전에도 횡령·배임 스캔들이 있었던 회사다. 증시에 나돈 내부 공모설 등을 포함해 모든 의혹이 최대한 빨리 규명되고 합리적인 수습책이 나와야 회사가 조기 정상화될 것이다.

금융사기 영화를 방불케 하는 이 사건의 교훈은 자명하다. 현대의 기업이라면, 특히 불특정 투자자를 상대로 공개 과정을 거친 상장기업이라면 자율적 내부통제·감시 시스템부터 철저히 갖추는 게 더없이 중요하다. 투명경영, 유리알 회계도 이런 기반 위에서 가능할 것이다. 기업 공신력이 제품과 서비스에서만 나오는 시대는 지났다. 증시 소액투자자와 해외투자자까지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이어야 살아남는다. 자본 조달 등 상장에 따른 여러 이점을 누린다면 그에 따른 책임을 다해야 마땅하다.

더 중요한 것은 법적 책임과 상식 수준의 사회적 책무를 기업 스스로 잘 해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야 기업이 발전하고 존중받을뿐더러, 이를 못 하면 외부 간섭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런 통제가 바로 기업들이 오매불망 혁파를 호소하는 규제가 되곤 한다는 사실도 중요하다. 코스닥 상장사의 횡령·배임 건으로 공시된 것만 지난 1년 새 50건이 넘는다. 기업들의 일대 자성과 자율적 내부통제 시스템 강화가 절실해졌다. 기이한 이번 횡령사건은 한 회사만의 문제도, 국내 투자자만의 문제도 아니다. 뒷수습이라도 한 점 의문 없이 조기에 매듭지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