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비교적 양호한 경제성장률과 낮은 실업률을 나타낸 선진국들의 공통점은 탄탄한 ‘중소기업’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도 중소기업이 살아남아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생태계 구조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중소기업연구원이 20일 발표한 ‘해외사례를 통해 살펴본 기업생태계-경제성장률-실업률 사이의 상관관계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의 국가에서 저성장·고실업 현상이 관찰되고 있지만 일부 선진국들은 금융위기 이전과 비교해 양호한 경제성과(아일랜드, 독일, 이스라엘, 미국, 호주, 캐나다 등)와 낮은 실업률(독일, 이스라엘, 일본, 노르웨이 등)를 나타내고 있다.

보고서는 “이들 국가들은 전체 기업 수에서 ‘소규모’ 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중규모 기업’의 비중이 높은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기업규모에 대한 통상적인 국제 분류 기준은 소기업(고용인원 1~9명), 중규모 기업(10~249명), 대규모 기업(250명 이상)이다. 이를 국내에 적용하면 소규모 기업은 ‘소기업·및 소상공인’, 중규모 기업은 ‘일반적인 중소기업‘, 대규모는 ‘중견·대기업‘에 해당된다.

김정주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8개 선진국의 소·중·대규모 기업의 비중 평균과 고성장세 및 저성장세 국가들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경제회복성이 우수한 국가들은 중규모 기업의 비중이 확연히 높다고 지적했다. 반면 소규모 기업 비중은 크지 않았다.

김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중에서도 일정 규모를 갖춘 이들 중규모 기업은 생계형이 아닌 성장잠재력을 갖춘 ‘기회형 창업’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며 “결국 소기업이 생존해 탄탄한 중소기업으로 성장하고 고용창출 및 경제성장을 이끄는 구조”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에선 소규모 기업 비중이 과도하고 중·대규모 기업의 비중이 작은 전형적인 ’허리부족‘(missing middle) 현상을 보인다”며 “소규모 창업이 중소기업과 대기업으로 이어지도록 기업생태계를 복원하는 쪽으로 중소기업 정책이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