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문에 의료진들에게는 어떤 음식을 먹고, 먹지 말아야 하는지를 궁금해하는 환자와 보호자의 질문이 그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의사들의 답변은 대체로 간단하다.
암을 치료하는 특별한 식품이나 영양소는 없는 만큼 균형 잡힌 식사로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하라는 것이다.
물론 음식 섭취 시 주의해야 할 부분은 있다.
3일 대한종양내과학회 소속 전문의들에 따르면 만약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 후 백혈구 수치 감소로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라면 음식에 들어있는 박테리아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음식물을 꼭 익혀 먹는 게 좋다.
특히 회, 굴, 조개, 대합류 등은 날음식으로 먹지 않아야 한다.
전갈류, 게장 등의 발효식품도 가급적 피해야 할 음식이다.
물도 되도록 끓여 먹는 게 좋겠지만, 시판 중인 생수 대부분은 감염 위험이 매우 적어 안전하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고기는 가리지 않고 먹는 게 암 치료에 도움이 된다.
단백질은 저장되는 영양소가 아닌 만큼 암 치료 중에는 고기 섭취를 통해 단백질을 충분히 보충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기는 식사 때 위주로 계란 또는 생선류와 함께 곁들여 먹는 게 권고된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혈액종양내과 유영진 교수는 "암에 걸려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는 식욕 감소와 음식 섭취의 어려움 등으로 영양이 결핍돼 회복이 늦어질 우려가 있다"면서 "암 치료 중이라면 적색육, 백색육 등을 가려먹기보다는 무엇이든 잘 먹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채소와 과일도 적극적으로 섭취해야 한다.
채소와 과일에는 항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카로티노이드류, 엽산, 비타민C, 비타민E, 피리독신, 셀레늄, 쿼세틴 등이 들어있고 그 밖에도 식이섬유소, 파이토케미컬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영양팀 서승희 임상영양사는 "항암치료 중에는 두부, 계란, 생선, 살코기 등의 단백질 식품과 채소를 고루 곁들여 하루 세 끼 식사를 유지해야 한다"면서 "채소와 과일은 정제하거나 즙을 낸 것보다는 반찬과 간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더욱 좋다"고 말했다.
다만 감염을 예방하려면 위생적인 음식물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구매 전 식품의 유통기한을 꼭 확인하고, 간 고기를 살 경우에는 직접 갈아주는 곳에서 사는 게 좋다.
고기를 가는 과정에서 고기의 표면적이 넓어져 박테리아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서다.
유영진 교수는 "항암치료 후 메스껍고 밥 냄새가 역겨울 때는 국수나 라면 등 입맛이 도는 음식을 먹어도 좋고 빵이나 비스킷 등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면서 "이 경우 단백질과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는 만큼 다른 음식도 함께 곁들여 영양분이 고루 섭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비만한 사람의 뇌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뇌 위축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두 대상 모두 뇌 부위가 얇아지고 위축되는 등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2일(현지시간) 미국 NBC 뉴스에 따르면 캐나다 맥길 대학 몬트리올 신경학 연구 병원의 필립 모리스 교수 연구팀이 미국 알츠하이머병 신경영상 계획과 영국 바이오뱅크의 데이터베이스(data base) 중 1300여 명의 뇌 스캔 영상을 분석한 결과, 비만한 사람과 치매 환자는 학습·기억·판단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비슷하게 얇아지고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 저널' 최신 호에 실렸다.뇌 부위가 얇아진다는 것은 뇌세포 수가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대뇌 표면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들의 집합체인 대뇌피질(cerebral cortex) 두께가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대뇌피질은 우리 몸에서 언어, 지각, 장기 기억, 판단 등 뇌의 고등 기능을 담당하는 곳이다.이 연구 결과와 관련, 사브리나 다이아노 컬럼비아 대학 메디컬센터 인간 영양 연구소장은 "비만한 사람과 치매 환자는 신경퇴화로 면적이 줄어든 부위를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이는 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이라고 평가했다.다만 비만한 사람들은 인지기능 검사에서 뚜렷한 뇌 결함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팀은 뇌 영상에서 나타난 위축과 관련된 인지기능의 미세한 변화를 정신 기능을 평가하는 인지기능 테스트로는 잡아낼 수 없기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피츠버그 대학 의대 인지장애과 소속 신경 전문의 조지프 맬론 박사는 "비만한 사람들에
중국 현지에서 오는 3∼5월 코로나19가 재유행할 수 있다는 전염병 전문가의 관측이 나왔다.보도에 따르면 화중과기대 부속 퉁지(同濟)의원 전염병 주임인 싱밍여우 교수는 최근 장강일보의 인터넷 생방송에 출연 "코로나19에 감염된 이후 체내 항체는 3∼6개월 이후 서서히 감소하게 되며, 이때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가 출현하면 재감염될 확률이 높아 새로운 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어 "중국에서 작년 12월부터 코로나19가 확산한 점을 고려하면 오는 3∼5월 재유행의 정점을 맞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싱 교수는 "코로나19는 주로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이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유효한 수단"이라며 "공공 밀집 장소에서는 필수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백신 추가 접종이 재감염 확률을 낮추거나 감염 시기를 늦출 수 있다"며 "1차 감염 때 폐렴 등의 증세로 치료받은 사람은 완치 후 6개월 내 추가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작년 말 방역 완화 이후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급증했으나 올해 들어 확산세가 수그러들며 진정 기미를 보인다.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는 1일 중국의 코로나19 감염 사망자가 지난달 4일 하루 4273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지난달 30일에는 434명을 기록, 정점 대비 89.8% 감소했다고 발표했다.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