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배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자 대형마트들도 당일 배송서비스에 힘을 주는 모양새다./사진=게티이미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배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자 대형마트들도 당일 배송서비스에 힘을 주는 모양새다./사진=게티이미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배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자 대형마트들도 당일 배송서비스에 힘을 주는 모양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최근 경기도 수원의 중계·광교점을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디지털 풀필먼트스토어'로 리뉴얼하고, 이달 말부터 '바로 배송' 서비스를 시작한다. 디지털 풀필먼트스토어는 온라인 쇼핑과 오프라인 매장이 합쳐진 '옴니채널' 형태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매장처럼 매대에 상품을 진열하고, 매장 인근에서 배송 주문이 들어오면 물건을 가져다주는 것도 유사하다. 차이는 온라인 주문을 취합하는 방식에 있다.

기존 매장에서는 온라인 주문을 취합해 하루 7차례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풀필먼트스토어는 주문과 동시에 물건을 담는다. 전담 직원이 매대에 있는 상품을 트레이에 담고 이 트레이를 레일에 실어 이동해 쌓인다. 온라인 주문이 잦은 350여 개 상품은 창고에서 곧바로 트레이에 실린다. 이렇게 주문 상품을 다 합친 뒤 배송 직전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이내다. 롯데마트는 배송 시간을 합쳐 이르면 1시간, 늦어도 1시간 30분 안에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주문 가능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이며 매장 인근 5㎞ 안에 거주해야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홈플러스는 2018년 인천 계산점을 시작으로 온라인 물류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점포 풀필먼트 센터'를 차세대 전략으로 내세웠다. 또 전국 140개 점포를 온라인 물류센터로 전환해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올라인' 플레이어가 되겠다고 선포한 바 있다. 홈플러스는 계산점에 이어 안양점과 원천점도 풀필먼트 센터로 리뉴얼했다. 장보기 전문 사원인 '피커'도 기존 10명 수준에서 40여명으로 늘렸다. 이렇게 피커 및 배송 트럭 등 관련 역량도 확충해서 일 배송 건수를 3000건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배송반경도 크게 기존 6km에서 15km수준으로 크게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18년 6000억원 수준이었던 온라인 사업 매출액을 오는 2021년까지 2조3000억원까지 상승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이마트는 경기도 용인과 김포에 위치한 3곳의 첨단 물류센터 '네오'와 함께 서울·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전국 158개 점포 중 100여 곳의 점포에서 직접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롯데마트, 홈플러스와 마찬가지로 일반 매장과 비슷한 환경에서 직원이 직접 돌아다니며 물건을 담는 방식으로 물량을 처리하고 있다.

대형 마트들은 점포의 물류 거점화를 통한 주문 후 최단 1시간 내 상품 배달을 마쳐 쿠팡 등 전자상거래 기업의 공세를 꺾어보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대형마트들의 이 같은 배송 서비스가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현행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르면 대형마트는 문을 닫는 자정부터 다음 날 오전 10시까지 점포 배송을 할 수 없어 '새벽 배송'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 '월 2회' 의무휴업도 따라야 해 고객이 의무휴업일에 온라인 주문을 넣으면 그 다음 날 물건을 받게 된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