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관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왼쪽 네 번째)과 이재성 서울관광재단 대표(다섯 번째)가 관광특구 상권 살리기 업무협약을 맺었다.  서울관광재단 제공
한종관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왼쪽 네 번째)과 이재성 서울관광재단 대표(다섯 번째)가 관광특구 상권 살리기 업무협약을 맺었다. 서울관광재단 제공
서울시가 국내외 관광객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광특구 상권 살리기에 나선다. 서울관광재단은 지난달 30일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운영하는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를 관광 분야로 확대하고 소상공인 지원과 관광 활성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한다고 밝혔다.

5개 자치구 6곳의 관광특구 상권을 분석해 호텔과 백화점 등 대형 시설에 밀려 어려움을 겪는 영세 소상공인과 예비 창업자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전통시장, 특화거리 등 외래 관광객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관광 명소 발굴도 기대하고 있다. 현재 서울 시내 관광특구로 지정된 곳은 △이태원 △명동·남대문·북창동·다동·무교동 △동대문 패션타운 △종로·청계 △잠실 △강남 등 6곳이다.
서울 관광특구 상권 빅데이터 분석으로 살린다
서울의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는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2015년 처음 도입됐다.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와 소비패턴, 업종별 매출 규모,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렌드 등 상권 정보를 월 100억 건이 넘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공한다. 도입 초기 10개에 불과하던 업종도 지금은 음식점과 미용, 여관, 패션잡화, 의류, 오락·운동 등 43개 생활밀착업종으로 확대됐다.

강만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책임연구원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최근 3년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서울 관광상권의 현황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서울의 관광상권 변화 추이를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관광재단은 관광상권 분석을 관광특구 6곳에서 전통시장과 일반 상권으로 점차 확대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서울을 찾는 방문객의 관광소비 형태와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이런 변화를 제때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관광객의 동선과 소비지출 규모 등 객관적인 관광효과 측정이 가능해진 만큼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맞춤형 관광정책 개발에도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재단에선 장기적으로 SNS와 온라인에서 자주 등장하는 관광지, 맛집, 볼거리 등 관련 검색어 분석을 통해 사전 관광수요 예측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동재 서울관광재단 R&D 팀장은 “승수를 이용한 추정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관광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카드 지출액 등 실질적인 데이터를 이용해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며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서울 관광시장의 대응 능력 향상은 물론 관광시장의 체질이 소상공인 중심으로 바뀌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