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왕립 과학원은 7일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75), 비탈리 긴즈버그(87), 앤서니 레깃(65)을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원은 러시아 출신 미국인 아브리코소프와 러시아 국적의 긴즈버그, 그리고영국계 미국인 레깃이 초전도체와 초유체라는 양자물리학의 두 가지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데 기여한 선구적 공로로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초전도 물질은 의학분야 자기공명영상(MRI)장치와 입자물리학의 가속기에 이용되며, 초유체에 대한 지식은 물질이 초저온 상태 및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작용하는방식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 아브리코소프와 레깃은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긴즈버그는 모스크바에 살고 있다. 아브리코프는 미국 일리노이주 아르곤에 있는 아르곤 국립연구소에 재직하고 있으며 긴즈버그는 모스크바에 있는 P.N. 레베데프 물리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바 있다. 레깃 교수는 일리노이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올해의 노벨 의학상이 MRI 개발에 기여한 영국 및 미국 과학자에게 돌아간 데이어 노벨 물리학상도 역시 MRI 관련 분야에서 나왔다. 군나르 외키스트 스웨덴 왕립 과학원 사무총장은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과 의학상이 우연하게도 비슷한 분야의 업적에 대해 주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외키스트 총장은 "분명 MRI 장치는 초전도체의 응용 분야 중 하나에 속하며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은 이 같은 응용을 가능케 한 발견에 돌아갔다"고 덧붙였다. 아브리코소프는 지난 1950년대에 모스크바에 있는 물리학 연구소에 근무하면서이미 긴즈버그와 다른 과학자들의 이론을 토대로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을 정립했다. 이처럼 오래전에 정립된 이론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최근 금속이 점점 더 높은온도와 강력한 자기장 속에서도 초전도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의 활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브리코소프와 긴즈버그가 기본 이론을 정립한 반면, 레깃은 이 지식을 초유체분야에 적용한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이들 3인의 수상자는 수상 소감에서 "매우 기쁘다"고 말하면서 이 분야에 많은과학자들이 기여했으나 자신들은 업적을 가진 많은 과학자 중 수상자로 선택된 것일뿐이라고 겸손한 태도를 보였다. 긴즈버그는 "노벨상 규정상 3명만 수상하도록 돼있기 때문에 우리들만 선정된 것 같다. 초전도체와 초유체 분야에서는 수 많은 사람들이 이론을 발전시켜 왔다"고 말했다. 이들 3인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1천만크로네(약 15억원)의 상금을 나누어갖게 된다. 이들은 노벨 사망 기념일인 오는 12월 10일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스 웨덴 국왕 칼 구스타프 16세로부터 상장과 상금을 받게 된다. 지난 해 노벨 물리학상은 일본인 고시바 마사토시(도쿄대)와 미국인 레이먼드 데이비스 2세(펜실베이니아대) 및 리카르도 지아코니(워싱턴 대학연합)등 3인이 우주물리학 발전에 공헌하고 특히 우주 중성미자와 우주 X-레이의 근원을 발견한 업적으로 공동 수상했다. (스톡홀름 AP.AFP=연합뉴스) songb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