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독일을 연결하는 해저 가스관에서 26~27일(현지시간) 연쇄적으로 가스가 누출됐다. 누출 지점 인근 국가인 스웨덴과 덴마크는 이를 사고가 아닌 ‘사보타주(의도적인 파괴 행위)’로 규정했다. 전쟁 발발 후 수차례 대러 제재를 도입한 유럽과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맞불을 놓은 러시아는 서로를 배후로 의심하고 있다. 이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병합 찬반투표에서도 압도적인 찬성 결과가 나옴에 따라 러시아와 서방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푸틴이 발트해 가스관 연쇄 폭파…유럽에 공급 중단 선전포고"

○서방 “푸틴이 터뜨렸다”

27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스웨덴 정부는 이날 해저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에서 2건의 가스 누출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전날 덴마크 정부도 노르트스트림2에서 가스 누출을 확인해 인근 해역의 선박 항해를 금지했다. 운영사 노르트스트림AG는 “하루 만에 3건의 가스 누출이 발생한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복구 기간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덴마크와 스웨덴은 가스관이 의도적인 공격에 의해 손상된 것으로 보고 있다. 누출 사고 자체가 드문 해저 가스관에서 동시다발적인 누출이 발생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3건의 가스 유출 지점이 모두 해저 공해상에 있다는 것도 의도적으로 파괴했다고 보는 이유다. 국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공해상에 있는 가스관만 파괴했다는 얘기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보타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스웨덴 웁살라대의 지진학자들은 로이터통신에 “두 번째 폭발은 다이너마이트 100㎏ 이상이 터진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서방은 배후로 러시아를 의심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쟁 발발 후 유럽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 제한 등 전방위 제재를 도입하자 최근 가스관 누출을 핑계로 가스 공급을 중단했다. 로베르트 하베크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이번 사건은 유럽의 기반시설에 대한 표적 공격”이라고 말했다.

라이온 허스 독일 허티스쿨 에너지과 교수는 “만약 러시아가 폭발시켰다면 이는 돌아갈 다리를 태워버린 것과 같다. 단기에 가스 공급을 재개하지 않겠다는 명백한 신호”라고 분석했다. 그는 “더 걱정되는 것은 발트해 인근의 유럽 각국을 잇는 가스관 등에서도 이런 일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라며 “유럽 에너지 공급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러시아는 강하게 부인했다. 28일 러시아는 “(러시아가 배후라는 주장은) 멍청하고 터무니없는 이야기”라며 “러시아는 이번 사고로 가스 공급로를 잃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관영 리아노보스티통신은 러시아가 덴마크 정부에 가스관 손상과 관련한 정보 제공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알렉산드르 그루슈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유럽연합(EU)으로부터 공동 조사 요청이 온다면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 우크라 점령지 영토 편입 착수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내 점령지 네 곳에서 진행한 러시아 편입 찬반 주민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표가 나왔다고 27일 발표했다. 타스통신 등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가 점령한 도네츠크·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주 등 4개 지역에서 찬성률은 87~99%다. 러시아는 영토 합병 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러시아 현지 언론은 러시아가 이들 지역을 2014년 합병한 크림반도와 합쳐 ‘크림 연방관구’를 만들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들은 “가짜 투표”라며 러시아를 맹비난했다. 군인 등 무장한 러시아 관리들이 집집마다 투표함을 가져가 강제로 참여하도록 한 투표가 공정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 주민투표를 규탄하고 이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결의안을 상정하기로 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 “러시아가 결과를 정해 놓은 투표가 받아들여지면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러시아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기 때문에 결의안 거부권(비토권)이 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면 결의안을 유엔총회에 상정하겠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점령지를 합병할 가능성이 높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합병을 완료한 뒤 이 지역을 탈환하려는 우크라이나의 시도와 서방의 지원을 러시아 영토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