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전기차·2차전지 기업
美 우선주의로 현지공장 확대
지원 많은 중서부 지역에 몰려
'삼성·LG·현대 도로' 생기기도
한국 대기업이 미국으로 몰려가고 있다. 2년간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금액은 1000억달러(약 127조원)를 넘었다.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 영향이 크지만 미국 정부가 ‘통 큰’ 기업지원제도를 통해 해외 기업을 빨아들이고 있다는 분석도 많다.
5일 한국경제신문이 삼성전자·SK·현대자동차·LG·한화·CJ 등 주요 그룹 계열사의 투자 계획을 집계한 결과 2021년부터 지난달까지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공개한 규모는 총 74건, 1031억7700만달러에 달했다. 공장을 짓는 직접투자가 27건, 미국 기업 지분 투자 및 인수가 47건이었다.
‘세계의 첨단산업 공장’ 미국
한국 대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짓겠다고 밝힌 투자 규모는 840억8000만달러(약 105조2000억원)였다. 지난해 한국이 유치한 외국인 직접투자(FDI·304억5400만달러) 규모의 두 배 이상으로 많은 금액이다. 일부 대기업만 조사한 것으로, 집계 범위를 넓히고 공개하지 않은 투자까지 고려하면 실제 투자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CJ제일제당의 만두 공장과 물류센터를 제외하면 미국에 투자 계획을 밝힌 기업은 반도체, 전기차, 2차전지 및 소재 관련 회사다. 산업계 관계자는 “미·중 패권 전쟁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은 반도체 공장을 반드시 미국에 지어야 했고, 현대차·기아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영향이 컸다”며 “전기차 공장을 따라 2차전지 기업과 양극재 등 배터리 소재 기업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1년 미국에 공장을 짓겠다고 세계 각국이 직접 투자한 금액은 4조9770억달러(약 6129조원)로 세계 1위였다. 1년 전보다 3510억달러 증가한 수치로,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다. 이 중 한국은 725억달러로 12위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제조업이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다”며 “이번 정부에서만 54만5000개의 제조업 일자리가 창출됐다”고 밝혔다.
미국 중부에 ‘K삼각벨트’
한국 기업은 북쪽의 미시간, 서쪽의 텍사스, 남쪽의 조지아를 잇는 삼각형 안에 대부분 포진한다. 이른바 미시간-텍사스-조지아를 연결하는 ‘미국 내 K삼각벨트’가 생긴 것이다. 벨트 안엔 켄터키와 캔자스, 미네소타, 앨라배마, 인디애나, 테네시 등이 포함된다. 이들 지역엔 이미 ‘삼성하이웨이’(텍사스주 테일러시)와 ‘LG하이웨이’(테네시주 클라크스빌), ‘현대대로’(앨라배마주 몽고메리)란 이름의 도로 등도 생겼다.
텍사스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있는 곳으로, 삼성전자가 발표한 신규 투자도 여기에서 이뤄진다. 미시간과 조지아를 남북으로 잇는 지역엔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공장을 중심으로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과 LG화학 등 배터리 소재 공장이 들어선다.
해당 기업 관계자들은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들도 미국 중서부나 중부로 많이 이전해 올 정도로 주정부 지원이 많고 기업 경영 환경도 좋다”며 “특히 켄터키 조지아 오하이오 인디애나 등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노동력과 공장부지, 노조 관련 이슈 등에서 선호되는 지역”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패권 경쟁이 심해지는 가운데 미국의 첨단산업 유치 전략이 계속되면서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기업의 미국 투자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장은 “미국 정부가 첨단산업 유치에 적극 나선 이유는 일자리와 제조업 혁신의 기회가 그곳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레드핀(REDFIN)에 의하면 미국의 주택시장은 작년 11월 둘째 주 저점을 기록한 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아직 완전히 늪에서 빠져나오지는 못했지만 주택 수요자들은 구매대열에 합류하고 있습니다. 임장(Tour)을 요청하는 레드핀 고객 수는 11월 저점보다 17%포인트 늘어났으며 주택 구매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에이전트에게 연락하는 사람들의 수는 13%포인트 올랐습니다. 1년전과 비교하면 홈투어와 서비스 요청은 각각 23%와 27% 감소했지만, 두 수치 모두 11월 저점(40% 감소)보다는 개선된 것입니다.이는 더 많은 주택판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레드핀 에이전트는 시애틀, 중부 플로리다 및 리치먼드를 포함한 일부 주택시장에서는 입찰경쟁(bidding wars)이 다시 시작됐다고 보고합니다. 주택 수요는 2022년초의 최고치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시장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가격이 좋은 매물(급매)은 빠르게 판매되고 있습니다.이런 변화는 평균 30년 고정금리 모기지의 이율이 작년 11월 최고치인 7.08%에서 6.15%로 하락하면서 모기지 신청이 11월 초보다 28% 증가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주택수요자들은 6%대의 모기지 금리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우량 고객들의 경우 중요한 심리적 기준점인 5%대의 이자율도 가능하다고 합니다.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주택수요는 다시 돌아오는 중입니다. 하지만 이는 선택적입니다. 입찰전쟁을 불러일으키는 주택은 저렴하고 교외에 있는 단독주택이며 입주가 가능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 경쟁력이 있다는 겁니다. 즉 저렴한 급매 실수요 주택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신규매물 또한 1월22일로 끝나는 4주동안 전년과 비교해 18% 감소했습니다. 이는 거의 3개월만에 가장 작은 감소폭이지만 1년전 8%보다는 훨씬 가파릅니다.주택시장은 인플레이션과 모기지 금리가 더 낮아지면 앞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계속 이러한 움직임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멉니다. 치열한 입찰전쟁이 벌어지는 지역도 있지만 여전히 한산한 지역도 있습니다. 시장이 달라지고는 있지만 팬데믹 주택구입 열풍과 심지어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도 여전히 주택시장은 차갑습니다. 심지어 2021년의 미국 주택시장이 다시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우리 부동산 시장은 어떨까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의하면 작년 10월 아파트 거래량은 560건으로 최저점을 기록했습니다. 이후 계속 증가해서 비수기인 작년 12월 거래량이 836건으로 2022년 2월(820건) 수준을 넘어섰습니다. 본격적인 규제완화 대책이 적용된 2023년 1월은 어떨까요? 2월3일 현재 747건에 이릅니다. 실거래 건수가 한달 늦게 집계되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 1월 거래량은 1000건을 훌쩍 넘어 2022년1월(1098건) 거래량을 추월할 것이 확실시됩니다.경기도 유사합니다. 작년 9월 최저거래량(2607)을 기록한 이후 빠르게 거래량은 늘고 있습니다. 작년 12월 3149건을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집계된 2023년1월의 거래건수는 2168건으로 작년1월의 거래량(3439건)은 충분히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레드핀과 유사한 국내의 대표적인 중개플랫폼 기업의 자료에 의하면 1월 아파트 매수를 원하는 수도권 해당 기업 고객은 320명으로 파악되며 이는 작년 6월 191명에 비하면 1.68배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반면 올해 1월 집계된 아파트 매물은 649건으로 작년 5월 1178에 비해서는 81.5%나 줄어들었습니다.우리도 마찬가지지만 이런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금리입니다. 연초 8%를 넘겼던 4대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금리는 2월3일 현재 4.98~6.89%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특례보금자리론의 경우 우대형은 3%까지 떨어졌으니 주택수요가 움직일만 합니다.이런 상황이 계속 지속될지는 추세를 지켜봐야 하지만 미국과 너무나 유사하게 움직이는 주택수요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펜데믹 이후 주택시장은 전세계적으로 동조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한경닷컴 The Moneyist>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
현대자동차·기아가 수소 전기 청소차와 경찰버스, 전기 냉동탑차 등 친환경 특장차 공급을 늘리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발맞춰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들이 배기가스 저감에 나서면서 생긴 변화다.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다음달부터 서울시, 경남 창원시, 충북 충주시, 전북 부안군에 10t 수소 전기 청소차를 한 대씩 공급하는 실증사업을 한다. 수소 전기 살수차도 처음으로 한 대 보급해 성능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지자체는 이 차량을 1년가량 시범 운영한 뒤 사업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현대차의 수소 전기 청소차는 2021년 경남 창원시의 환경 미화 작업에 투입한 5t 수소 전기 청소 트럭을 기반으로 한 모델이다. 내연기관 청소차와 달리 배기가스, 소음, 열기,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아 미화원의 근무 여건을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소음 공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또 쓰레기를 고밀도로 압착해 부피를 줄이는 압축 진개 장치를 적용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현대차는 서울지방경찰청에 수소 전기 경찰버스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세 대 제공할 방침이다. 경찰버스는 도심에서 공회전으로 엔진 소음이 심하고 배기가스도 많이 배출했는데, 친환경 버스를 도입하면 이런 불편함이 개선된다. 또 내연기관 버스에 비해 내부 적재 공간이 넓다.친환경 특장차 시장이 개화하며 중소기업들도 이들 차량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장차 제조기업 리텍이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10월 자체 개발한 1t 전기 노면 청소차를 출시했고, 올해부터 판매를 본격화한다. 경유 노면 청소차에 비해 연료비가 10분의 1에 불과하며, 1회 충전으로 최대 6시간가량 작업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또한 엔진오일, 연료필터 등이 없어 유지보수 비용이 적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국산 초소형 전기차의 판매량이 1년 만에 다시 2000대를 돌파했다. 초소형 전기차는 기동성이 좋고 유지·관리비가 저렴해 지금은 단종된 미니 상업용차인 다마스, 라보를 대체할 ‘소상공인의 발’로 주목받고 있다.5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초소형 전기차 판매량은 총 2129대로 전년 대비 30.9% 증가했다. 이 가운데 상업용 전기차의 판매량은 전년보다 63.2% 증가한 790대였다. 승용 전기차는 1339대로 17.3% 늘었다.초소형 전기차는 최고 출력 15㎾ 이하 전기차를 말한다. 국내에선 최고 시속 80㎞, 무게 600㎏(상업용차 750㎏) 이하 등으로 조건이 제한된다. 작년 판매량 1위 모델은 쎄보모빌리티의 2인 승용 전기차 ‘쎄보C SE’(995대)였다. 쎄보모빌리티는 지난해 초소형 전기차를 1003대 판매했다. 이 업체는 국산 초소형 전기차 전체 판매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승용 전기차만 보면 점유율이 70%에 달한다. 회사 관계자는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판매량 2위는 디피코가 출시한 초소형 전기 화물차 ‘포트로’(600대)다. 이 차량의 부품 국산화율은 87%에 이른다. 지난해 우정사업본부에 우편 배달용 차량 123대를 납품한 비결이다. 3위는 마이브의 승용 전기차 주력 모델 ‘M1’으로 230대가 팔렸다.국산 초소형 전기차 판매량은 2019년 2764대로 정점을 찍고 하락하다가 지난해 다시 상승세를 탔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주문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물류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초소형 전기차는 크기가 작고 소음과 매연이 거의 없어 주택가에서 움직이기 편리하다.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면 실제 구매비용이 한 대당 1000만원 선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소상공인에게 인기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국내 초소형 전기차 시장은 2025년 1만4000대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초소형 전기차 시장은 중소·중견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일반 전기차에 비해 시장 규모가 작아 대기업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데다 기술 진입장벽도 낮기 때문이다.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도 활발한 편이다. 국내 1위 농기계 전문기업 대동이 지난해 대구에 연간 최대 14만5000대의 모빌리티를 생산할 수 있는 S팩토리를 준공하고 초소형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었다.중국산 초소형 전기차도 국내 시장에 물밀듯 들어오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초소형 전기차 내수 시장은 연간 4000~5000대 규모다. 이 중 약 절반을 중국산이 차지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업체 둥펑샤오캉의 소형 화물 밴 ‘마사다’는 지난해 중국산 소형 밴으로는 처음으로 국내 시장 판매량 1000대를 돌파했다.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 전기차를 포함한 중국산 전기차 수입은 1억658만달러(약 1333억원)로 전체 전기차 수입액의 8.5%를 차지했다. 2021년(2.3%)보다 비중이 4배 가까이 뛰었다.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