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를 위해 ESG 채권을 발행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을 중심으로 ESG 채권 발행액이 급증하는 추세다.

高탄소 기업, ESG채권 발행 주도
19일 한국거래소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2018년 1조3000억원에 불과하던 ESG 채권 발행 규모가 올 들어 11월까지 81조9000억원으로 급증했다. ESG 채권은 상대적으로 조달 금리가 낮지만 ‘자금의 사용 목적과 관리체계가 ESG 채권 적용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외부 전문기관의 검토와 인증을 거쳐야 한다.

ESG 채권 중에서는 E(환경)와 관련이 있는 녹색채권 비중이 크게 늘었다. 2019년 5%, 지난해 2%로 낮아졌다가 올해 15%로 크게 높아졌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계기로 탄소 배출 규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한 영향이란 분석이다. 김상훈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ESG 채권 시장의 주인공은 민간기업이 발행한 녹색채권”이라며 “세계적 탈탄소 흐름에 힘입어 발행량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이 ESG 채권 발행에 적극적이다. 신영증권에 따르면 올 들어 11월까지 철강업종의 ESG 채권 발행 비중은 70.3%에 달했다. 발전·에너지(45.5%) 석유화학(31.0%) 정유(27.6%) 시멘트(23.1%) 등도 ESG 채권 비중이 높은 업종으로 분류된다.

전체 채권 시장에서 ESG 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10% 남짓인 걸 감안하면 이들 업종이 ESG 채권 발행에 앞장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경록 신영증권 연구원은 “탄소중립에 대한 국제적 압박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은 ESG 투자를 늘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시장에서는 ESG 채권 시장의 허실이 드러나는 시점을 내년으로 보고 있다. ‘무늬만 친환경’인 그린워싱을 막기 위한 제도가 마련 중이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ESG 채권 발행회사들은 매년 조달자금의 사용과 배분에 대한 보고를 해야 한다”며 “내년 첫 점검에 나서는 인증기관들이 어떤 평가를 하느냐에 따라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