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가격급락·비수기에 '주력' 반도체 흑자 4조원 미만 추정
디스플레이 사업은 적자 예상…갤럭시S10 판매 호조·생활가전도 선전

삼성전자가 5일 공개한 올해 1분기 잠정 영업이익 6조2천억원은 사전 공시한 대로 '어닝 쇼크'였다.

지난해 1분기(15조6천400억원)와 비교하면 60.4% 쪼그라들었고, 전분기(10조8천억원)보다도 42.6% 줄어든 숫자이기 때문이다.

잠정 실적인데다 사업 부문별 구체적 실적은 공개되지 않아 어떤 사업부가 실적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는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지난달 26일 자율 공시한 '1분기 예상실적 설명자료'에 따르면 부품 부문의 양대 축이자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에 '두 발목'이 잡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먼저 작년 하반기부터 일찌감치 업황 부진이 전망됐던 반도체 사업의 경우 업계에서는 1분기 영업이익이 3조원대 후반에서 4조원 사이일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1분기 반도체 사업으로 벌어들인 영업이익이 약 11조5천억원임을 감안하면 65% 이상 급감한 수준이다.
'어닝쇼크 예고' 적중한 삼성…부품 '흐림'·완제품 '무난'
업황 둔화에 더해 비수기가 겹치면서 D램과 낸드플래시의 평균판매가격(ASP)이 직전 분기에 비해 각각 23%, 27%로 시장의 예상보다 큰 폭으로 떨어진 탓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반도체 사업의 경우 최근 아마존에 공급한 제품(1세대 10㎚ 후반급 D램)에 품질 불량이 나타나 리콜에 따른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다는 소문이 나오기도 했으나 이번 실적에 변수가 됐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부 고객에 한정되는 문제"라며 "이번 일회성 손실액이 시장 일부의 우려처럼 조 단위로 넘어가는 일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디스플레이 사업의 경우 LCD(액정표시장치) 패널이 비수기에 진입한 가운데 중국 패널업체들의 경쟁적인 생산능력(Capa) 증설로 공급이 늘어나면서 가격 하락이 예상보다 컸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사업의 실적 부진에 대해서는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LCD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며 수익성이 악화했고, 플렉서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도 주요 고객사들의 수요가 줄었다고 삼성전자가 공시에서 비교적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고객사의 실명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시장에서는 애플의 아이폰 판매 부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구입량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본다.

투자업계는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대략 4천억∼7천억원대 영업손실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업이 포함된 IT모바일(IM) 부문 영업이익은 2조5천억원 안팎 수준이 될 것으로 보는 관측이 많다.

최근 출시한 갤럭시S10의 판매 호조로 실적이 비교적 양호하다는 평가다.

다만 이는 전 분기(1조4천억원)와 비교하면 크게 늘었으나 1년 전 같은 기간(3조8천억원)보다는 줄어든 규모다.

IM 부문으로서는 부품인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이 수익성에 긍정적 요인이었으나 카메라모듈 등 다른 부품의 원가 인상으로 수익성이 기대를 밑돌았을 가능성이 있다.

소비자가전(CE) 부문의 경우 생활가전 사업부가 좋은 실적을 거두면서 5천억∼6천억원대의 무난한 실적을 거뒀을 것으로 투자업계는 보고 있다.
'어닝쇼크 예고' 적중한 삼성…부품 '흐림'·완제품 '무난'
작년 4분기 CE의 영업이익은 약 7천억원, 1년 전 동기인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은 3천억원 수준이었다.

시장의 관심은 이미 삼성전자의 향후 실적 전망으로 넘어간 상황이지만, 2분기 이후 실적 방향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린다.

투자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실적이 2분기에 연간 저점을 찍고 상향 전환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결국 삼성전자 실적의 핵심 변수는 반도체 사업이다.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 하락세는 계속되겠지만 하락 폭이 1분기보다 2분기 때 둔화할 공산이 크고, 최근에는 반도체 가격이 떨어지면서 고객사들의 주문량이 증가하는 추세도 읽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쪽에서는 실적 저점이 언제 나타날지 알 수 없다고 전망한다.

최근 전체 반도체 수요에서 가격의 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서버용 제품의 비중이 커졌고, 지난해 하반기 반도체 판매가격이 워낙 치솟았던 탓에 현재 떨어진 가격 수준도 수요를 자극하기는 부족하다는 분석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