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금융사 임직원들이 지난 5년여간 횡령한 자금 규모가 1000억원을 웃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형 횡령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금융권 전체 환수율은 31.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면서 금융당국의 감독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은행·저축은행·보험·카드·증권 등 금융사에서 총 1192억3900만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횡령 사고에 연루된 임직원 수는 총 181명이었다.

금융권 횡령 사고로 인한 피해액은 2017년 89억8900만원(45명), 2018년 56억6800만원(37명), 2019년 82억8400만원(28명), 2020년 20억8300만원(31명), 2021년 151억2400만원(20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8월 기준으로는 790억9100만원(20명)이었다.

업권별 횡령 임직원 수는 은행이 97명(53.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보험 58명(32.0%), 증권 15명(8.3%), 저축은행 8명(4.4%), 카드 3명(1.7%) 순이었다.

횡령 규모가 가장 큰 금융권 또한 은행으로 나타났다. 은행(907억4000만원), 저축은행(149억7140만원), 증권(86억9600만원), 보험(45억7500만원), 카드(2억5600만원) 순이었다.

금융사별 임직원 횡령 규모를 살펴보면 은행권에서 우리은행이 716억5710만원으로 가장 컸다. 보험은 KB손해보험(12억300만원), 카드는 우리카드(2억5100만원), 저축은행은 KB저축은행(77억8320만원), 증권은 NH투자증권(40억1200만원)에서 가장 큰 임직원 횡령 규모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대형 횡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는 가운데 금융권 전체 환수 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금융사 횡령액 총 401억4800만원 가운데 환수된 금액은 127억800만원으로 집계됐다. 환수율은 31.7%이다.

강 의원은 "금융권에서 횡령이 만연하고 환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다른 직원에도 유혹이 번져 이성적 판단을 흐리게 할 수도 있다. 반드시 철저한 관리․감독과 일벌백계가 이뤄져야 한다"며 "금융위원회는 감사·준법 감시 담당 임직원 대상 내부통제 워크숍을 분기별로 늘리고, 우리은행 횡령 사건을 계기로 제대로 된 금융감독 개선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