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동 모습. 사진=한경DB
서울 중구 명동 모습. 사진=한경DB
우리 2분기 경제성장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비롯한 주요 35개국 중 중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비중이 큰 한국 경제 구조상 미국·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수출 감소에 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까지 겹쳐 하반기 경제 성장이 더 힘겨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콜롬비아·코스타리카·룩셈부르크·뉴질랜드를 제외(통계 미발표 등)한 33개 OECD 회원국에 중국·인도네시아 등 35개국의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는 0.7%로 20위 수준이었다. 1분기 대비 한국은 18위(0.6%)에서 두 계단 떨어졌다.

2분기 경제 성장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아이슬란드(3.9%)였다. 이어서 네덜란드(2.6%), 튀르키예(터키·2.1%), 아일랜드(1.8%), 이스라엘(1.7%), 오스트리아(1.5%), 그리스(1.2%), 스페인(1.1%), 이탈리아(1.1%), 헝가리(1.0%)가 10위 안에 들었다. 주요 경제 대국 중에선 일본(0.9%)이 17위, 프랑스(0.5%)가 24위, 독일(0.1%)이 27위, 미국(-0.1%)이 31위를 기록했다.

중국(-2.6%)은 2분기 성장률 통계가 확인된 35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결국 우리나라 양대 수출 상대국인 미국과 중국 경제가 모두 2분기에 뒷걸음치면서 우리나라 성장률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우려되는 대목은 하반기 이런 수출 감소 등에 따른 성장 둔화가 더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한은은 지난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성장과 관련해 "상반기까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였지만 최근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 모멘텀이 점차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짚었다.

경기 하강의 주된 원인으로는 글로벌 성장 둔화가 꼽혔다. 미국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유로 지역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에너지 수급 차질로, 중국은 코로나19 봉쇄조치와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으로 성장률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어서다.

여기에 작년 하반기 이후 꾸준히 오른 기준금리가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올 하반기부터 나타날 것으로 우려됐다.

한은은 "그동안 쌓인 부채와 높아진 자산 가격이 통화정책 긴축의 영향을 확대할 소지가 있고, 저소득·과다 차입 가계를 중심으로 소비 제약 효과가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