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SM엔터테인먼트와 홈 피트니스 사업 합작법인 '피트니스캔디'(Fitness Candy) 출범식을 열고 사업 비전과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조주완 사장, SM 이성수·탁영준 공동대표, 피트니스캔디 경영진 등이 참석했다.
피트니스캔디는 홈 피트니스 관련 콘텐츠와 기기를 만들고 구독 서비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한다.
오는 9월 스마트폰과 스마트TV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용 앱을 출시하고 스마트밴드, 카메라, 운동기기 등 데이터가 연동되는 양방향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근력 운동과 코어 강화, 댄스,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스트레칭, 명상 등 6가지 종류의 콘텐츠를 선보인다.
각 콘텐츠는 10~40분 분량으로 매주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특히 피트니스캔디는 SM엔터테인먼트와 협업해 K팝과 댄스 기반 운동 등 다양한 콘텐츠도 제작하기로 했다.
피트니스캔디 콘텐츠에는 홍보대사인 모델 한혜진, 댄서 아이키, 방송인 최여진을 비롯해 허민호(철인 3종 전 국가대표 선수), 이대훈(태권도 금메달리스트), 이유빈(쇼트트랙 메달리스트), 안드레 진(전 럭비선수), 오스틴 강(셰프) 등이 참여한다.
또한 LG전자의 AI 카메라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의 동작과 상황을 인식하며 피드백해 주는 자세 교정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다.
TV 앱을 통해 모델과 사용자의 자세가 얼마나 동일한지 AI 카메라 기술로 확인하는 방식이다.
피트니스캔디의 지분은 LG전자와 SM이 각각 51%, 49%를 보유한다.
LG전자 CEO 조주완 사장은 "그동안 가전 패러다임이 기능과 성능 중심의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했다면 LG전자는 고객경험 중심으로 스마트 가전 패러다임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앞서가는 내 삶을 위한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변모해 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SM 이성수 공동대표는 "K팝을 만든 SM엔터테인먼트의 음악과 댄스, 아티스트 콘텐츠와 LG전자의 글로벌 IT 기술이 만나 글로벌 피트니스와 헬스케어 산업에 기여할 기회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미사이언스는 17일 배경태 전 삼성전자 부사장(사진)을 부회장으로 선임했다. 배 부회장은 전략기획실장을 맡아 그룹의 전략 수립을 담당할 예정이다. 한미사이언스는 한미약품그룹 지주회사다.배 부회장은 삼성전자에서 중국·중동·아프리카·한국 총괄장 등을 지내며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자는 “배 부회장의 리더십을 기반으로 그룹 내 협력과 소통, 혁신을 강화해 계열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나수지 기자
유업계 "지원금, 원윳값 인상 효과"…일각선 '밀크플레이션' 우려도유업계 1위인 서울우유협동조합이 낙농가에 '목장경영 안정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서울우유는 낙농가의 사룟값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금이라고 밝혔으나, 사실상 원유(原乳) 가격을 인상하는 효과를 내 다른 유업체의 가격 조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17일 정부와 유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는 전날 대의원총회를 열고 낙농가에 월 30억원 규모의 목장경영 안정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서울우유 측은 사룟값 증가로 낙농가의 생산비 부담이 커졌는데 올해 원유 가격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어려움이 큰 상황이라 낙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이번 지원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유업계에서는 이번 지원금이 서울우유에 원유를 제공하는 농가에 원윳값을 L(리터)당 58원 인상하는 효과를 낸다고 보고 있다.다른 업체들은 올해 원윳값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우유의 이번 결정이 당황스럽다는 입장이다.원유 가격 조정은 낙농가와 유업체, 학계 인사 등이 참여하는 '원유 기본가격 조정협상 위원회'(협상위)에서 매년 협상을 통해 결정한다.하지만 유업계가 현재 협상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올해 원윳값 논의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유업계는 용도별로 원유 가격을 달리 적용하는 '차등 가격제'를 골자로 한 낙농제도 개편이 전제되지 않으면 협상에 불참한다는 입장이다.하지만 낙농업계는 농가 소득이 감소할 수 있다며 이 제도의 도입에 반대하면서 유업계와 대립하는 상황이다.서울우유는 협상위에 참여하지 않아 자율적으로 정해도 되는 입장이지만, 다른 업계는 기준 가격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 관계자들이 최근 대만을 방문한 미국 의회 관계자들과 잇달아 만나 대미 투자 등을 논의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CNA) 등이 17일 보도했다. CNA에 따르면 TSMC 관계자들은 지난 14∼15일 대만을 방문한 에드 마키 상원의원(민주) 등 미국 여야 상·하원 의원단과 만났다. TSMC 측은 마키 의원을 포함해 총 5명으로 구성된 의원단과 대미 투자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으며, 특히 미국 애리조나주에 120억 달러(약 16조 원)를 투입해 최첨단 웨이퍼 공장을 짓는 문제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뤄졌다고 CNA는 전했다. TSMC의 애리조나 공장은 2024년 상업용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TSMC의 류더인 회장은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지난 2∼3일 대만을 방문했을 때 그와 화상으로 소통하며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서명까지 마친 반도체 산업 육성법(반도체와 과학 법)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최근 미국은 대만에 '아쉬운 소리'를 하면서 반도체 관련 협력을 하고 있다. 아울러 대만은 이전보다 훨씬 수월하게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구매하는 한편 안보 관련 공약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