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부터 오는 11월 말까지 신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하기로 한 농협은행의 서울 본점 영업부에서 23일 고객들이 대출상담을 하기 위해 창구로 들어서고 있다.   신경훈  기자
24일부터 오는 11월 말까지 신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하기로 한 농협은행의 서울 본점 영업부에서 23일 고객들이 대출상담을 하기 위해 창구로 들어서고 있다. 신경훈 기자
금융당국의 대출규제 수위가 연일 높아지면서 금융회사들이 속속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중단하거나 신용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내집마련 막차’를 타려는 젊은 층은 정부의 대출규제에 대해 ‘금융 사다리 걷어차기’라고 강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금융사들이 투기와 무관한 전세자금대출까지 틀어막자 실수요자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금융사에 ‘2030 부채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당부하고 있다. 이들이 최근 주식과 암호화폐 등 위험도가 높은 투자를 벌여온 데다 ‘영끌(영혼을 끌어모은) 대출’을 통한 ‘빚투(빚내서 투자)’로 부동산 구매에 나서면서 가계부채 총량을 크게 키웠기 때문이다. 향후 금리가 오르고 자산가격에 충격이 오면 과거 ‘카드사태’처럼 청년층의 부채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지적이다.
'영끌' 2030 대출규제 직격탄…"금융 사다리 걷어차나" 부글부글

2030세대만 빚 1년 만에 20% 늘어

한국은행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기준 2030세대의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446조5000억원으로 1년 전(391조1000억원)에 비해 55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 중 은행권 대출금 잔액은 259조6000억원으로, 1년간 44조7000억원 불었다. 증가율은 20.5%로 같은 기간 은행권 전체 세대 부채 증가율(10.3%)의 약 두 배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대출 폭증은 수도권 아파트값이 고공행진한 데 따른 ‘패닉바잉(공황구매)’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이후 2030세대의 신용대출을 통한 주택 구매가 이어졌고, 그해 11월 1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앞두고는 미리 신용대출을 받아두려는 가수요가 폭발했다”고 설명했다. 한 은행의 고위 임원은 “초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한 최근의 2030세대는 ‘빚의 무서움’을 모르는 것 같다”고 했다.

금융당국은 2030세대 부채의 질이 다른 세대에 비해 떨어지고, 소득 대비 부채 총량이 많아 향후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특히 우려한다. 1분기 기준 2030세대 대출의 41.8%(186조9000억원)는 은행에 비해 금리가 높은 2금융권 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점에 국내 가계의 연소득 대비 가계대출비율(LTI)은 231.9%인 데 비해 ‘빚투’에 활발하게 뛰어든 30대의 LTI는 266.9%에 달했다. 기준금리가 오르고, 주식시장에 충격이 오면 2030 차주의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절박하게 집 사는 마음 모르는 정부”

2030세대는 정부의 대출 규제로 ‘자산 증식의 기회가 끊기게 됐다’는 반론을 내세운다.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2030세대를 희생양 삼아 대출을 죄고 있다는 것이다. 이대로라면 세대 간 자산 격차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불만이다. “정부가 앞장서 사다리를 걷어차고 있다”는 주장이다.

청년세대는 최소한 ‘벼락거지’는 면해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 때문에 빚을 내서라도 주택을 구매하길 원하고 있다. 20대 직장인 이모씨는 “청년세대는 경제생활을 하는 기간이 4050세대에 비해 훨씬 더 길다”며 “정부가 청년세대에 대해선 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줘야 한다”고 했다.

30대 직장인 이모씨는 최근 대출 규제가 강화된다는 소식을 듣고 입주가 예정된 리모델링 아파트 중도금을 마련하기 위해 캐피털사에서 신용대출로 3000만원을 빌렸다. 그는 “2금융도 죈다고 하는 와중에 대출을 받은 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2030세대가 공인중개사 사무소는 물론 인테리어 업체, 재건축 조합, 정비사업 대행사 등의 부동산 금융 ‘브로커’를 소개받아 집을 사는 사례도 늘고 있다. 최근 사(私)금융을 통해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구매했다는 30대 직장인 최모씨는 “40~50대는 연봉도 높고 집을 마련한 사람도 많은데, 자산을 만들 기회가 없다는 생각에 매수를 결심했다”며 “대출 규제로 이자 부담만 커진 셈이 되니 정부가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수도권 2030세대는 해외 대도시의 청년들처럼 소득의 절반을 월세로 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30대 직장인 김모씨는 “미국 뉴욕에서 적지 않은 월세를 내면서 유학생활을 한 경험이 있다”며 “대출을 내지 말란 소리는 앞으로 집주인에게 소득을 바치라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김대훈/장현주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