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네덜란드·스웨덴 등 8개국
올 법인세 낮췄거나 인하 계획
각종 세율 낮춘 국가 20곳 달해
"법인세 인하가 기업 활력 높여
투자 촉진·GDP 증가로 이어져"
세계 각국의 법인세 인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올해 법인세율을 인하한 국가는 지난해에 비해 두 배로 늘었고, 각종 세제 혜택도 확대되고 있다. 기업 활력을 높이는 것이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게 세계 각국의 판단이다. 여기에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이 같은 흐름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 2018년 법인세율을 인상한 이후 인하 논의 자체를 하지 않고 있어 세계적 흐름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불붙은 법인세 인하 경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발간한 ‘OECD 회원국의 세제개편 동향’ 보고서를 살펴보면 올해 법인세를 인하했거나 연말까지 인하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곳은 8개국이다. 이번 분석의 대상은 OECD 회원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40개국이다.
올해 법인세를 내린 나라는 프랑스 벨기에 아르헨티나 그리스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이다. 법인세를 인하한 국가는 지난해 4개국(그리스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스웨덴)에서 두 배로 늘었다. 지난해와 올해 2년간 법인세를 인상한 국가는 한 곳도 없었다. 법인세를 올린 OECD 국가가 있었던 것은 한국이 세율을 올린 2018년이 마지막이었다.
프랑스는 33.3%이던 법인세율을 올해 31%로 낮췄다. 연매출 2억5000만유로(약 3300억원) 이하 중소기업에 적용되는 세율은 31%에서 28%로 낮아졌다. 프랑스는 2022년까지 법인세 최고 세율을 25%로 추가 인하할 계획이다. 헝가리 네덜란드 슬로바키아는 중소기업에 적용되는 법인세율을 낮췄다. 호주 칠레 독일 핀란드 미국 등은 가속상각 등 감가상각 특례를 확대했다.
이탈리아는 세율 인하는 하지 않았지만 감가상각, 연구개발(R&D) 조세 지원, 이자비용 공제, 환경 관련 조세 지원 등 법인세 부담을 줄여주는 전반적인 제도 개편을 한 국가로 분류됐다. 세율 인하를 비롯해 각종 법인세 조세특례를 도입해 법인세 부담을 낮춘 것으로 분류된 국가는 40개국 중 20개국이었다. 한국은 이 명단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법인세 인하가 경제 성장에 도움”
세계 각국이 법인세 부담 경감에 나선 것은 기업 활력을 높이고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더불어 법인세 인하로 인한 세수 감소가 크지 않다는 점도 주요 고려 요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OECD 보고서의 세부 내용을 분석한 국회예산정책처는 “2000년 이후 OECD 평균 명목법인세율 인하에도 불구하고 OECD 회원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법인세수 비중은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는 기업 이윤 증가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인세 인하가 투자를 촉진해 GDP 증가에 기여한다는 연구도 잇달아 발표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달 ‘법인세율이 설비투자에 미치는 영향 및 법인세 부담 수준 국제비교’ 보고서에서 기업의 법인세 실효세율(법인부담세액을 법인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1%포인트 낮추면 설비투자가 6.3%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법인세 인상은 투자와 소비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김성현 성균관대 경제학부 교수는 ‘법인세 인상의 재정 및 거시경제 효과에 대한 동태적 분석’ 논문에서 법인세율이 2%포인트 오르면 총소비와 총투자는 단기적으로 각각 0.25%와 2% 감소한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도 한국은 2018년 법인세율을 인상했다. 지방세를 포함한 최고 세율이 24.2%에서 27.5%로 올랐다. 현재 OECD 국가 중 법인세율이 아홉 번째로 높은 나라다. 10년 전인 2011년 21위에서 순위가 크게 뛰었다.
미국 자율주행자동차 스타트업 오로라가 세계 최대 승차공유업체인 우버의 자율주행차 사업부문을 인수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기업의 명암이 엇갈리면서 글로벌 인수합병(M&A)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우버는 자율주행차 사업부문인 어드밴스트테크놀로지그룹(ATG)을 오로라에 팔고, 4억달러를 오로라에 투자하면서 지분 26%를 갖기로 했다고 두 회사가 7일(현지시간) 밝혔다. 오로라는 자율주행차를 출시할 때 우버의 네트워크를 활용하기로 했다. ATG의 가치는 40억달러(약 4조3400억원)로 평가된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거래로 2018년 오로라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은 현대·기아차도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관측된다. 2018년부터 오로라와 수소전기차 넥쏘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주행기술을 개발 중인 현대차는 지난해 오로라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현대·기아차의 투자액은 300억원 정도로 알려졌다.코로나19 탓에 올초 잠시 위축됐던 글로벌 M&A 시장은 지난 7월을 기점으로 활기를 띠고 있다. 글로벌 M&A 분석업체인 머저마켓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세계 M&A 규모는 8914억달러(약 966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3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같은 기간 50억달러 이상 대형 M&A는 36건, 거래금액은 4560억달러에 달했다. 실적·주가 회복세 타고…알짜기업 콕집어 '쇼핑'글로벌 기업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알짜기업 쇼핑에 나서면서 M&A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패트릭 램지 글로벌 M&A 총괄은 “올 2분기가 자본시장의 분기였다면 3분기부터는 단연 M&A의 분기”라며 “기업들의 실적과 주가가 회복되면서 상반기 얼어붙었던 M&A시장이 달궈지고 있다”고 말했다.글로벌 기업들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회복 탄력성을 키우기 위한 수단으로 M&A를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씨티그룹은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사태로 기업들은 사업을 다변화하는 동시에 더 크고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M&A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특히 첨단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진단했다.전문가들은 글로벌 M&A 트렌드를 △경쟁업체 인수를 통한 시장지배력 강화 △신규 사업 진출 △생존 모색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그러면서 세계 각국의 경기부양으로 유동성이 넘쳐나는 가운데 백신 개발 등으로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성도 줄어들고 있어 M&A시장이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국내 1호' 도입이 유력한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물량 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한국이 선구매 계약을 체결한 유일한 코로나19 백신이다.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이 생산 지연을 겪으면서, 백신 보급 일정이 당초 일정보다 지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FT에 따르면 영국 정부 관계자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올해 400만회분 정도만 납품될 것이라고 인정했다. 이는 앞서 영국 정부가 연말까지 공급될 것이라고 밝힌 3000만회분에서 약 90% 급감한 수준이다.공급망도 변경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연말까지 영국에서 유통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당초 계획과는 달리 네덜란드와 독일에서 수입될 전망이다. 원래 영국에 공급되는 모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자체 공급망을 통해 생산될 예정이었으나 일부 차질이 생긴 여파다.영국 정부 백신 태스크포스(TF)의 제조 총괄 책임자인 이언 맥커빈은 "국내 제조에 몇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며 "백신 보급이 조금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아직 영국에서 백신 허가를 위한 첫 단계인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의 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은 상태다. MHRA는 지난 2일 세계 최초로 화이자 백신의 긴급 사용을 승인한 바 있다.아스트라제네카와 백신 TF는 예상대로 MHRA의 승인을 받으면 올해 말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해 내년 초부터는 원래 계획대로 영국에서 백신을 생산해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맥커빈은 "영국 정부가 주문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억회분 중 8000만회분은 영국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전했다.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