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에서의 4차 산업혁명' 국회포럼 열려
-"글로벌 98%의 투자가 美-中, 나머지 국가 힘 모아야"


"자율주행 시대를 앞두고 주도권을 어느 나라가 가져갈 것인지가 관건이지만 현실적으로 중국과 미국이 관련 R&D 분야에서 글로벌 전체 투자의 98%를 차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는 나머지 2%에 드는 국가들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이유다"

한불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자동차 산업에서의 4차 산업혁명' 포럼이 23일 국회 본관에서 열렸다.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로 대변되는 미래 자동차 산업에서 미국과 중국의 자본력에 대항해 한국과 프랑스, 캐나다 등 나머지 국가들의 기업과 정부가 긴밀한 협력으로 대항해 4차 산업 혁명 속에서 도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자율주행·AI 투자 미·중 98%, 나머지 2% 뭉쳐야"

이날 기조 연설자로 나선 장 피에르 라파랭 프랑스 전 국무총리는 완전한 자율주행차의 구현을 위해서는 민간과 공공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상용화의 시기 보다는 완벽히 기술을 구현해 내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글로벌 R&D 투자가 미국와 중국에 전적으로 쏠려있는 만큼 나머지 국가들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라파랭 전 총리는 "미국와 중국이 자율주행과 AI의 기술개발에 글로벌 전체의 98%를 투자하고 있으며 나머지 2%를 투자하고 있는 국가 간의 힘을 모아야할 시기"라고 말했다.

장병규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한국은 자율주행과 AI 시대에 이미 동참했으며 정부는 글로벌에서 첫 번째가 주자가 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분야에서 미국에 이어 중국이 그 두 번째 주자가 되고 있는 현실을 우려하며 관련 데이터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장 위원장은 "중국은 우리에 비해 개인 프라이버시가 없는 국가로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며 "한국은 개인정보 수집 관련 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 중이지만 혁신을 고려하면 현재 규제나 법안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해야할 시기"라고 언급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융합과 연결을 바탕으로 하는 4차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프랑스와 캐나다 등 각국의 기업과 우리 중소기업의 협력을 적극 지원할 뜻을 내비쳤다. 박 장관은 "자율주행과 AI로 대변되는 4차 산업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AI를 접목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며 "한국은 규제자유 특구 지정 지역이 늘어나고, 제2의 벤처 붐이 일고 있어 관련 기업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공언했다.

"자율주행·AI 투자 미·중 98%, 나머지 2% 뭉쳐야"

이날 주제 발표에서는 이경수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도로 위의 안전과 공해 저감, 이동 비용의 절감, 교통체계의 효율성 등을 내세우며 자율주행 상용화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또한 2026년까지 국내 기업과 협력해 도심에서 주행가능한 자율주행 시스템을 선보이며, 이에 앞서 내년까지 레벨3 자율주행 기술을 이식한 현대차 아이오닉과 버스를 공개하겠다는 계획을 알렸다.

소피 슈미틀린 르노-닛산 첨단엔지니어링 글로벌 디렉터는 현재 글로벌은 인구밀도의 변화 와 급속한 노령화에 따라 자동차 산업이 재편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과거 신차의 평균 3년이 걸리는 개발 사이클이 현재는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것. 슈미틀린 디렉터는 "과거 자동차 회사는 차를 팔고나면 그만이었지만 현재는 신차의 라이프사이클 전체 기간 동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새로운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한다"며 "르노-닛산은 80억 유로를 투자해 현재 30% 수준인 커네티드카를 2022년까지 100%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은 자율주행과 AI분야에서 한국과 프랑스, 캐나다의 협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성윤 기자 sy.auto@autotimes.co.kr

▶ [인터뷰]벤츠, "오로지 '이동'에 집중하겠다"
▶ [르포]VW 연간 33만대 EV 생산, 준비는 끝났다
▶ 쌍용차 "잘 만든 1.5ℓ 가솔린, 열 엔진 안 부럽다"